박주민 복지위원장 “전공의 복귀 기반 만들어졌으면”
대전협 한성존 위원장 “폭격 지나간 의료, 붕괴 직전”

국회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왼쪽)과 대한전공의협의회 한성존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오후 국회에서 ‘중증·핵심 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소통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청년의사). 
국회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왼쪽)과 대한전공의협의회 한성존 비상대책위원장이 14일 오후 국회에서 ‘중증·핵심 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에 참석해 소통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청년의사).

의대생 전면 복귀 선언에 의료계와 정치권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전공의들도 국회와 소통의 폭 넓히면서 수련현장 복귀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와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4일 오후 여의도 국회에서 ‘중증·핵심 의료 재건을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복지위원장인 더불어민주당 박주민 의원은 “의대생 복귀 선언으로 의료 교육 토대를 세울 수 있는 상황이 됐다”며 “이 흐름이 이어져 전공의도 조속히 복귀할 수 있는 기반이 만들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그간 (전공의들과) 만나왔지만 공식적으로 대화를 나누는 건 부족했다고 판단했다. 중증·핵심 의료 재건을 위한 논의를 시작하면 좋겠다는 바람으로 이번 간담회를 열게 됐다”고 했다.

박 위원장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뢰 회복”이라며 “그간 수차례 만나며 어느 정도 신뢰는 복원됐다고 믿는다. 공식적으로 대화를 이어가면서 신뢰를 강화하고 소통의 폭을 넓혀갔으면 좋겠다”고도 했다.

또 “전공의 복귀를 둘러싸고 (전공의들 사이에서도) 다양한 목소리가 존재한다는 것을 안다. (국회에서도) 그런 목소리도 듣겠다”면서 “이를 통해 국민이 안심하고 진료 받을 수 있는 의료정책을 다시 세워나갔으면 좋겠다”고 했다.

여당 간사인 민주당 이수진 의원도 “의대생이 학업에 복귀하겠다는 공동 입장문을 발표하고 의료대란 해결을 위한 첫 발을 내디뎠다”며 “전공의 복귀도 국민 입장에서는 조속히 이뤄지길 기대하고 있다. 국회도 충분한 역할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제 소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들을 전제 조건으로 하기보다 국민들에게 피해가 발생한 것에 대해 모두가 진심으로 사과하고 한마음으로 복귀하겠다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해법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오늘 자리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중증·핵심 의료 재건을 포함해 보건의료체계를 회복하고 더욱 발전시켜 나가는 지속적인 소통의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면서 “대화하면 해결 못할 것은 없다”고 했다.

대전협 한성존 비대위원장은 중증·핵심 의료 재건을 위해 수련환경 개선과 법적 리스크 완화 필요성을 강조하며 국회와 소통하겠다고 했다.

한 위원장은 “지난 1년 4개월 무자비한 폭격이 지나가고 주변을 둘러보니 자랑스럽게 생각했던 의료는 무너지기 직전의 상황이었다”며 “국회와 함께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재건하는 중요한 초석을 다지는 자리다. 중증·핵심 의료 재건을 위해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한 위원장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의료 현장의 법적 리스크 완화는 대한민국 미래 의료를 위한 중요한 주춧돌이 될 것”이라면서 “더 나은 의료라는 환자와 의료계의 공동 목표를 향한 고민과 노력을 이어가겠다”고도 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는 복지위 소속인 민주당 백혜련·소병훈·남인순·김윤·장종태·서영석 의원,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도 참석했으며, 대전협 비대위에서는 한 위원장을 포함한 비대위원 9명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