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암질심 통과 후 약평위 상정은 아직
“환자의 남은 시간, 제도와 달라…생명에 위협”
한국백혈병환우회가 오는 8일 예정된 약제급여평가위원회를 앞두고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들의 유일한 치료 대안인 ‘베스레미주(성분명 로페그인터페론알파-2b)’의 급여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백혈병환우회는 지난 2일 입장문을 내고 정부와 제약사에 베스레미주의 신속한 급여화를 요구했다.
진성적혈구증가증은 골수에서 적혈구가 만성적으로 과도하게 생성되는 골수증식종양으로 희귀 혈액암의 일종이다. 이 질환은 적혈구뿐만 아니라 백혈구와 혈소판 수도 증가해 혈전증, 색전증과 같은 심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골수섬유증, 급성백혈병으로 진행될 수 있다. 2023년 기준 국내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 수는 4,995명으로 집계됐다.
현재 국내에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진성적혈구증가증 치료제는 ‘하이드록시우레아’ 한 가지뿐이다. 한국백혈병환우회에 따르면, 전체 환자의 약 10~20%는 이 약제에 불응하거나 부작용으로 인해 복용을 지속할 수 없는 상태다. 환우회는 이러한 환자들에게 베스레미가 사실상 유일한 대안이라고 강조했다.
베스레미주는 진성적혈구증가증을 일으키는 JAK2 돌연변이 조혈 줄기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3세대 모노-페길화 프롤린 인터페론으로, 초기에는 2주에 한 번, 장기 사용 시 4주에 한 번 투여가 가능하다. 그러나 1회 투여 비용이 425만 원에 달하는 비급여 약제로 연간 치료비가 수천만 원에 이른다.
베스레미주는 2019년 유럽의약품청(EMA), 202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와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으며, 지난해 7월 암질환심의위원회(암질심)를 통과해 ‘저위험군(단, 세포감소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 한함) 및 고위험군의 증상을 동반한 비장비대증이 없는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의 치료’에 급여기준이 설정됐다.
한국백혈병환우회는 베스레미주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지난해 2월부터 3월까지 진행된 베스레미주 급여화 촉구 국회 국민동의청원에서 30일 만에 5만552명의 동의를 얻었다고 언급했다.
한국백혈병환우회는 “환자의 시간은 제도와 행정의 속도보다 빠르다. 그 기다림은 곧 통증이고, 생명을 위협하는 절박한 시간”이라며 “더 이상 그 시간을 허비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보험급여 재도전 '베스레미', 암질심 통과
- '베스레미', 기능적 완치 가능성 제시하며 급여 재도전
- 진성적혈구증가증, 잠재적 완치에 한발 다가서다
- 혈액암협회, ‘진성적혈구증가증 희망솔루션’ 행사 개최
- “골수증식종양 MRD 도달 위해 인터페론 적극 치료해야”
- "베스레미,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에겐 유일한 희망"
- '베스레미', 진성적혈구증가증 국내 환자서 효과 재입증
- 치료실패한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 '베스레미' 급여 절실
- 베스레미, 기존 치료 실패 진성적혈구증가증 환자에 효과 입증
- 진성적혈구증가증 치료제 '베스레미', 효과 재입증
- '베스레미', 진성적혈구증가증 근본 치료 가능
- NCCN, 진성적혈구증가증 치료에 '베스레미' 권고
- 진성적혈구증가증 치료제 '베스레미' 허가
- 혈액질환 신약 3종 급여 신설·확대 '청신호'
- 영국 찾은 백혈병환우회, '한국형 메기즈센터' 도입 가능성 봐
- 혈액학회, 세계 혈액암의 날 맞아 헌혈·조혈모세포기증등록 당부
- “백혈병 산정특례 재등록 시 골수검사·복부CT검사 요구 부당”
- 파마에센시아 "베스레미, 진성적혈구증가증 임상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