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간호사회 이혜영 이사, "현장 간호사들 우려 목소리"
조윤수 회장 "간호법 하위법령 마련에 간호계가 칼자루 쥐어야"
정부가 추진하는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병원들이 병상 수를 줄이면서 간호계에서 간호인력도 감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간호사회 이혜영 이사는 지난 22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시간호사회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정부의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에 참여하는 병원은 총 42개소로, 중환자실, 소아‧고위험분만‧응급 등 병상을 제외한 총 3,186개 일반병상을 감축했다.
이 이사는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과 관련해 일부 병원에서는 6인실을 4인실로 바꾸거나 일부 병상을 닫고 있는 것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의정갈등 이후로 이미 병상 가동률이 이전보다 줄은 만큼 아직까진 크게 달라진 것 같지는 않다"고 했다.
이 이사는 "아직 일어난 일은 아니지만, 간호사들 사이에서는 병원이 병상 수를 줄이는 만큼 간호인력도 줄이는 것 아닌지 염려하고 있다"며 "어떤 병원에서는 인사팀에서 간호사 인력을 다시 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도 나왔다고 들었다"고 전했다.
이런 우려가 향후 간호대생 취업 한파로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도 했다.
이 이사는 "게다가 (의정갈등으로) 대부분의 대학병원에서 간호대생 채용 인원이 줄면서 간호대생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간호대 정원은 늘리고 있는데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 등으로) 간호사 정원을 늘리는 게 더 어려워질 수도 있다. 자식 같은 학생들이라 속상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시행을 7개월 앞둔 간호법의 하위법령 마련 등 남은 과제들을 해결하는 데 간호계가 '칼자루를 쥐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서울시간호사회 조윤수 회장은 "간호법이 제정된 만큼 현장 간호사들의 의견을 헤아려 간호법 내용을 고민해야 한다. 다른 의료계 종사자들의 목소리도 함께 담아야 한다"면서 "보건복지부도 고민하고 있겠지만, 이제는 정말 간호계가 칼자루를 쥐어야 할 때"라고 했다.
조 회장은 "전담간호사들의 교육 주체가 누가 될 것인지, 전문간호사와 전담간호사 간 역할을 어떻게 정립해야 하는지 등 주제를 (간호계가) 선점할 필요가 있다"며 "또한 간호법에 따라 지자체에서 간호인력지원센터를 둬야 하는데, 정책 연구도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서울시간호사회에서는 간호법 제정 이후 진료지원업무와 관련된 정책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정선 제1부회장은 "간호법 통과되는 과정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음에도 최종적으로 정리되지 못한 부분이 '전문간호사와 전담간호사 중 누가 진료지원업무를 하는 게 적당한지'였다"고 했다.
박 부회장은 "관련된 의견들이 매우 다양하다. 이에 서울시간호사회의 의견과 미래에 지향적으로 진행해야 할 부분도 담으면서 진료지원업무라 불리는 현장에서의 상급실무의 제공자로서 누가 가장 적합한지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간호사회는 이날 2024년 동안 시행한 주요사업에 대해서도 소개했다. 구체적으로 ▲조직관리체계강화 ▲간호 발전을 위한 협업 ▲간호정책 역량 강화 활동 ▲회원의 간호역량 강화 ▲간호 전문성 향상 및 지원 활동 ▲전문인으로서의 간호사 이미지 강화 사업 ▲회원 권익옹호 및 복지 활성화 활동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상종 구조전환 지원사업에 서울대병원 등 11개소 추가
- 상종 구조전환사업 ‘13개’ 병원 추가 참여…591병상 감축
- "간호법 하위 법령에 간호사 행위 수가 확대 반영돼야"
- 간호법 축하 대회 여야 총출동…한 총리 "의료개혁 참여해달라"
- 政, 간호법 시행 준비 착수…하위법령 논의 시작
- 전문간호사협회, 전문간호사 발전 방향 모색 학술대회 개최
- 전문간호사들도 제도 활성화 고심…“중요한 건 수가”
- "간호법에 업무상 과실치사상으로 인한 면허 취소 도입해야"
- 상종 구조전환 쟁점은? "중증환자 비율 합의 필요"
- 강북삼성‧화순전남대병원도 상종 구조전환 참여
- 政, 내년 ‘필수의료 간호사 양성’에 100억 투입
- [의료계 10대 뉴스⑤] 의료대란에 ‘간호법’ 국회 통과 일사천리
- 2026학년도 간호대 정원, 증원 없이 ‘동결’
- 박정선 서울시간호사회장 “간호정책 개선 위해 최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