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진숙 의원 "사태 해결 위해 대통령에게 명분 줘야"
남인순 의원 “여야의정에 전공의 들어오려면 책임져야”
의대 증원 정책으로 촉발된 의료대란을 끝내려면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이 사퇴해 윤석열 대통령에게 명분을 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 장관은 사퇴를 거부했다.
더불어민주당 전진숙 의원은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정 갈등 해결책을 찾지 못하는 정부를 향해 “국감 첫날 현 의료대란 사태 해결을 위해 대통령 공식사과와 책임자인 복지부 장·차관 용퇴를 말했다. 고민해 봤느냐”고 했다.
이에 조 장관은 “이미 두 건 모두 결정하기 어렵다는 말씀을 드렸다”며 완곡한 거절 의사를 밝혔다.
그러자 전 의원은 박근혜 정부 시절 대선 공약과 달리 기초노령연금 대상을 축소하기로 하자 사퇴한 진영 전 복지부 장관의 '항명' 사건을 거론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대선에서 기초노령연금을 노인에게 월 20만원 지급하기로 했으나 집권 후 재정 부담을 이유로 소득 하위 70% 노인에게 월 10만~20만원씩 차등 지급하겠다고 말을 바꿨다. 논란이 이어지자 당시 50대 복지부 장관으로 취임했던 진 전 장관은 기초노령연금 등 복지정책 축소에 대해 주무부처 장관으로서 책임을 지고 취임 6개월 만이었던 지난 2013년 9월 자리에서 물러났다.
전 의원은 “50대 복지부 장관인 진영 전 장관이 왜 그만뒀는지 굳이 말하지 않겠다”며 “국무위원은 대통령을 바른 길로 가도록 보좌해야 한다. 현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에게 새로운 명분을 만들어 주는 것도 국무위원의 역할”이라고 질타했다.
전 의원은 “다시 한 번 의정 간 신뢰회복 물꼬를 트기 위해 대통령 사과 필요성을 진언 했으면 좋겠다”며 “그리고 스스로 용퇴하길 바란다”고 거듭 강조했다.
같은 당 남인순 의원은 여야의정협의체에 전공의단체와 대한의사협회가 참여하려면 조 장관과 박민수 제2차관이 사퇴해야 한다고 했다.
남 의원은 “여야의정협의체가 꾸려질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됐다. 전공의 단체와 대한의사협회가 (협의체에) 들어오지 않고 있다. 이들이 들어오려면 장·차관이 마지막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책임지는 모습을 확실하게 보여줘야 한다”고 사퇴를 촉구했다.
조 장관은 "더 노력하겠다"고만 했다.
관련기사
- 장대비 속 충북의대 찾은 국회의원에 "천막 치고 수업할 판" 호소
- 與 “정부 뺀 여야의협의체? 정부 압박용 카드” 비판
- '여·야·의'는 만났지만…"정부·전공의 빠졌는데 無소용"
- 여야 ‘25년 정원 논의’에 의료계도 반응…"백지화 논한다면 참여"
- 여야의정협의체 급물살 타는데 전공의·의대생, 임현택 회장 ‘손절’
- "의료적폐 3인방 조규홍·박민수·인요한, 사퇴하라"
- 여당 사퇴 요구에 조규홍 장관 “책임진단 자세로 의료개혁 완수”
- 여당 내에서 복지부 장·차관 자진 사퇴 요구 나와…꼬리자르기?
- 여야 "협의체 되려면 휴학 승인해야"…복지부 "교육부와 협의"
- 조규홍 장관 “전공의 미복귀 시 '플랜B' 있다”
- 의학회 참여 조건 ‘25년 정원’ 복지부 “듣겠지만 조정 불가”
- 전의교협,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유보…“의학회·KAMC 결정 존중”
- 교육부 “의학회·KAMC 참여 환영”…조건부 휴학 승인은 ‘고수’
- 민주당 여야의정협의체 '보류'에 국힘 "정치 이익만 따져" 비판
- 윤석열 대통령 “의료개혁 시급…전공의 의존 관행 뿌리 뽑아야”
- "22대 국회 복지위 국감, 의대 증원 책임 추궁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