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미애 의원, 복지부 장·차관 문책 “정부적 판단 必”
민주당 의료대란특위 “밥 먹고 사진 찍는 보여주기식 안돼” 압박

야당이 정부를 뺀 '여야의협의체'를 먼저 띄우자는 제안을 의료계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자 여당이 '정부 압박용 카드'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청년의사). 
야당이 정부를 뺀 '여야의협의체'를 먼저 띄우자는 제안을 의료계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자 여당이 '정부 압박용 카드'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청년의사).

야당이 정부를 뺀 ‘여야의협의체’를 먼저 띄우자는 제안을 의료계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지자 여당이 ‘정부 압박용 카드’라고 비판했다. 야당은 오는 24일 예정된 당정 간 회동이 ‘빈 손’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며 압박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지난 22일 대한의사협회 임현택 회장과 비공개 긴급 간담회를 개최하고 민주당과 의협 간 대화 채널을 시작으로 여야의협의체를 우선적으로 열어놓고 의료계와 정부 간 요구사항을 조율해 나가자는 제안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김미애 의원은 23일 YTN라디오 ‘뉴스파이팅’에 출연해 “정부를 빼는 게 무슨 의미가 있겠냐”며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특히 주된 당사자는 의료계로 그 중에서도 전공의 참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결국 당사자 간 협의하는 게 의미를 가져야 된다”며 “여야의협의체에서 나온 안을 갖고 정부를 압박만 하자는 것”이라며 “여기서도 (민주당의) 진정성을 느끼기는 어렵다”고 했다.

의정 갈등을 유발한 보건복지부 장·차관 문책에 대해 정무적인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 의원은 “어떤 일을 함에 있어서 당사자 간 소통이 중요하고 그에 있어서 언행도 중요한데 의도했든 그렇지 않았든 그로 인해 의료계가 상당히 불편을 가진 건 사실”이라며 “그런 부분에 있어서는 정부가 유연한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복지부 장·차관 사퇴시기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이쯤 되면 (정부가) 반응해야 되지 않나 하는 생각”이라며 “의료계 당사자에게는 반감이 너무 큰 입장이고 대화를 하자는데 반감을 그대로 둔 채 진행은 쉽지 않은 게 현실적인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오는 24일 예정된 당정 간 독대에서도 복지부 장·차관 문책은 거론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 의원은 “독대 자리에서야 모든 것을 다 (이야기)할 수 있다. 당정 간 건강한 소통을 위해서도 독대는 필요하다고 본다. 공개적으로 말하기 껄끄러운 것들도 열어두고 할 수 있다고 본다”며 “(장·차관 문책) 이 부분을 포함해서”라고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의료대란대책특별위원회는 2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정부와 여당을 향해 의료공백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달라고 촉구했다(ⓒ청년의사). 
더불어민주당 의료대란대책특별위원회는 2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정부와 여당을 향해 의료공백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달라고 촉구했다(ⓒ청년의사).

민주당 의료대란특위 “밥만 먹고 사진만 찍는 회동 아니길”

야당은 당정 간 회동이 “보여주기식 식사자리로 끝나서는 안 된다”며 정부와 여당을 압박하고 나섰다.

민주당 의료대란대책특별위원회 일동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료공백 해소를 위해 정부와 여당이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 달라고 촉구했다.

의료대란특위 위원장인 민주당 박주인 의원은 “내일(24일)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만찬 회동을 갖는다”며 “이 만남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매우 크다. 부디 밥만 먹고 사진만 찍기 마시라. 의료대란을 해결할 수 있는 작은 실마리라도 만들 수 있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의료계에서는 응급실 다음으로 중환자실이 무너질 것이라고 예견한다. 서둘러 바로잡지 않으면 살릴 수 있는 사람들이 더 많이 목숨을 잃게 될 것”이라며 “윤 대통령과 한 대표에게 강력히 요구한다. 더 이상 국민 고통을 외면하지 말고 이번 회동이 진정한 변화의 출발점이 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했다.

박 의원은 “구체적인 성과 없이 회동 그 자체가 성과라고 포장하는 관행이 되풀이되지 않길 강력히 요구한다”면서 “이번 만남이 단순한 보여주기식 식사 자리가 아니라 국민 생명을 지키고 삶의 질을 높이는 구체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자리가 되길 강력히 촉구한다. 실패할 경우 그 책임은 결코 가볍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