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AS 4·5등급 환자 비중 2020년 55.0%→2023년 51.8%
이주영 의원 “중증 응급환자 중심으로 운영되도록 정비 必”

구급차, 응급실, 응급환자 이송, 게티이미지
응급실 내원환자의 절반 이상이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 체계(KTAS)' 4등급과 5등급에 해당하는 경증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응급실 내원환자의 절반이 경증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개혁신당 정책위의장인 이주영 의원이 국립중앙의료원으로부터 받은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 체계(KTAS) 자료’에 따르면 응급실 내원환자 가운데 ‘준응급’과 ‘비응급’ 환자 비중이 지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53.3%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KTAS 분류 체계에서 준응급 환자는 4등급, 비응급 환자는 5등급에 해당한다. 4등급은 환자의 나이와 고통, 악화될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1~2시간 안에 치료 혹은 재평가하면 되는 상태고, 비응급은 긴급하지 않은 만성적인 문제일지도 모르는 상태다.

2020년~2023년 응급실 내원 환자의 중증도 분류 결과(자료제공: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실)
2020년~2023년 응급실 내원 환자의 중증도 분류 결과(자료제공: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실)

응급실 내원환자 중 4등급과 5등급 환자는 지난 2020년 55.0%를 차지했으며, 2021년 53.0%, 2022년 53.4%, 2023년 51.8%로 50대를 유지하고 있다. 응급실 절반 이상이 경증환자로 차 있는 셈이다. 2023년은 잠정치다.

또 지난 202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응급실에 내원한 4등급과 5등급 환자의 진단명을 살펴본 결과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대장염이 78만7,819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복부 및 골반동통증 73만6,170건 ▲손목 및 손의 열린 상처 68만9,005건 ▲머리의 열린 상처 68만8,011건 ▲두드러기 67만5,233건 순이었다.

2020년~2024년 7월 중증도 분류 결과별 다빈도 진단코드 현황(자료제공: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실)
2020년~2024년 7월 중증도 분류 결과별 다빈도 진단코드 현황(자료제공: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실)

이 의원은 경증환자 응급실 이용 비율이 해마다 높은 이유로 국민들이 중증도를 직접 판단하기 어렵고 응급의료기관 종별 이용에 제한이 없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상대적으로 신속한 응급처치와 시술이 필요한 중증 응급환자의 응급실 적정 이용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향후 응급실이 중증 응급환자 중심으로 비축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정부가 제도를 정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