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명옥 의원, “중요한 사업 단기간 종료돼 문제” 지적
복지부, 해당 사업 종료 이후 경증환자 비율 20% 이내
정부가 응급실 경증환자 쏠림으로 인한 ‘응급실 뺑뺑이’를 해소하기 위해 추진한 ‘경증환자 분산 지원사업’ 중단에 지속 추진 필요성이 제기됐다. 정부는 응급실 내 중증환자 중심 진료가 자리잡아가고 있어 해당 사업이 불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3월 15일 응급실 뺑뺑이를 야기하는 원인으로 꼽히는 경증환자 응급실 과밀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경증환자 분산 지원사업에 67억5,000만원의 예비비를 투입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해당 사업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찾는 경증환자(K-TAS 4~5등급)를 타 의료기관으로 안내하는 경우 중증도 분류 인력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급해주는 사업으로 지난 6월 12일까지 약 4개월간 실시됐고 48억원의 예비비가 집행됐다. 중증도 분류는 3만2,304건이 이뤄졌다.
국민의힘 서명옥 의원이 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증환자 분산 지원사업이 실시됐던 올해 3월부터 6월까지 권역응급의료센터 내 경증환자 비율은 22.4%로 전년 동기(35.9%) 대비 13.5%p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서 의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 내 경증환자 비중이 낮아졌음에도 복지부가 해당 사업을 4개월 만에 종료하고, 내년도 예산안에도 이를 반영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복지부는 경증환자 분산 지원사업은 비상진료상황 초기 예비비로 지원한 사업으로 권역응급의료센터 내 중증환자 중심 진료가 자리 잡아 가고 있어 지속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해당 시범사업 종료 이후 권역응급의료센터 내 경증환자 비율은 지난 7월 19.8%에서 8월 19.8%로 20% 이내 수준이다.
그러나 서 의원은 “응급실 뺑뺑이로 국민의 생명이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 중요한 사업이 단기간에 종료된 것은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응급실 과밀화 해소를 위해 경증환자 분산 지원사업을 지속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임시공휴일에도 평일 진료비?…의료계 "희생 강요"
- 의료공백 메우는데 2조 썼다? 政 “5696억 외 나머진 선지급”
- 추석 연휴 응급실 대란 없었다고? 진료제한 메시지 23.4%↑
- “응급실도 못 가는 나라 만든 尹…고집·불통 버려야”
- 응급의료 대란 '없었다'는 정부에…醫 "황당한 자화자찬" 맹공
- 응급실 정당한 진료 거부 사유 政지침에 환자단체 "혼란 가중"
- 경증환자 응급실 진료 시 ‘본인부담 90%’ 13일부터 적용
- "지난 2월 전공의 떠난 후 ‘진료결과 사망환자’ 수 증가"
- 작년 비응급환자 징수 패널티 비용 ‘3119억원’ 역대 최고
- 여전히 응급실 절반은 경증환자…KTAS 4·5등급 53.3% 차지
- 권역센터 기피하는 응급의학과 의사들…“덜 힘든 응급실로 쏠린다”
- 서울시, 경증환자 긴급치료센터‧전담병원 운영…응급실 혼잡 대책
- "최종치료 불가한데 '응급실 뺑뺑이' 치부…바보 같은 정부" 직격
- 김윤 "의사단체 왜곡된 현실 인식 벗어나야 응급의료 개혁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