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醫 "의대생·전공의에 전권 위임해 당정과 결론내야"
2025학년도 의대생 모집까지 시작됐는데도 여·야·의·정 협의체 구성으로 의료계와 정부·정치권 공방이 이어지자 "끝장토론을 하자"는 제안이 나왔다. 결론 날 때까지 증원 관련 절차를 멈추자는 것이다.
9일 예정대로 2025학년도 대입 수시 모집 원서 접수가 시작되자 대한산부인과의사회는 성명을 내고 "전공의와 의대생 대표가 참여하는 끝장토론을 하자"면서 "결론이 날 때까지 신입생 모집도 연기하자"고 했다. 이미 입시가 시작돼 2025학년도 증원은 무를 수 없다는 정부를 겨냥한 것이다.
산부인과의사회는 "정부는 노력했는데 의료계가 단일안을 가져오지 않아 (의료 사태를) 해결하지 못했다며 명분만 쌓으려는 의도로 보인다"며 "지금 의료계에서 대한의사협회, 대한병원협회,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 대한전공의협의회 의견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이용해 현 사태를 해결하지 못한 책임을 의료계에 돌리려는 의도가 짙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금은 "의료 붕괴의 근본적인 원인 제공자가 누구인지 책임 소재를 두고 대립할 때"가 아니라고 했다. "의료계 대표성을 누가 갖고 (여·야·의·정 협의체에) 참여할지, 언제 참여할지가 쟁점"이라고 했다.
따라서 "이번 사태 당사자인 전공의와 의대생에게 대표성을 부여"하고 '여·야·의·정 협의체 끝장토론'을 열자고 했다. 의협도 의결 권한 등 전권을 이들 대표에게 위임하자고 했다. 여야 대표는 물론 국무총리와 대통령실 관계자도 토론에 나오라고 했다.
산부인과의사회는 "대표 총 6명만 참여해 결론이 나올 때까지 토론하자"며 "결과가 나올 때까지 당장 오늘 시작한 신입생 모집부터 연기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증원을 원점 재검토하기로 받아들인다면 의료 대란을 멈출 극적인 분기점이 될 수 있다"면서 "의료계와 정부의 지루한 자존심 싸움이 이어질수록 그 피해는 재앙 수준으로 커진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 전공의 유일한 소통창구 ‘이주영’ 중재안 마련하나
- "불가능한 명령하고 안 따르면 징계…政, 이젠 정신 차리라"
- 의협 "의대 증원, '백지화' 후 빨라도 2027학년도부터 가능"
- '25년' 빼고 '26년' 의대 정원부터 협의? 의료계 "의미 없다"
- 민주당 의료대란특위 “의료진 현장 복귀 위한 폭넓은 논의 必”
- 의대 증원 잘했다 76→56%…의료대란에 국민 지지도 ‘흔들’
- 민주당 내 커지는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재검토’ 목소리
- 국민의힘 "의료계 대화하자"…협의체 구성, 26년 증원 재검토 제안
- '공든 탑'이 무너지고 있다…국회의원 '이주영'의 두려움
- "의료 위기 추석 끝나도 계속될 것" 醫, 증원 백지화 대국민 호소
- 정부, 병원 근무 의사 명단 유포 '엄벌'…"25년 정원 변경無"
- "전공의, 싸우는 것 아닌 '포기' 선택…선배 의사들 고민해야"
- 의대 수시 첫날 경쟁률 공개한 교육부 ‘원점 되돌리기 불가’ 쐐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