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재택의료 서비스 이용자 분석 결과
3개월 이상 장기 재택치료자 66.5% 병원 재입원
"중증질환자 재택의료 종합 계획 수립해야"

중증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재택의료 계획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중증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재택의료 계획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국내 재택의료 인프라가 중증질환자 케어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원 이후에도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환자들을 위해 종합적인 재택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이선영 교수와 완화의료임상윤리센터 유신혜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지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퇴원 후 재택의료 환자 655명의 의료 이용 경향을 분석해 그 결과를 국제 학술지 'JAMDA(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에 게재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지난 10년간 서울대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후 재택의료(가정간호) 서비스를 이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특성과 의료서비스 필요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서울대병원 재택의료 이용 환자 약 70%가 중증질환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암 환자가 약 50%, 루게릭·파킨슨병 등 신경계질환자가 20%였다.

암 환자 재택의료 수요는 중심정맥관 관리가 43.5%로 가장 높았다. 욕창·장루 등 상처 관리(36.7%), 배액관 관리(22.1%)가 뒤를 이었다. 신경계질환자의 경우 식이 보조가 필요한 경우가 80.5%에 이르렀다. 인공호흡기나 기관절개관 등을 이용한 호흡 보조 수요도 43.4%에 달했다.

재택의료 서비스 이용 환자별 장기 이용자 비중(자료 제공: 서울대병원).
재택의료 서비스 이용 환자별 장기 이용자 비중(자료 제공: 서울대병원).

식이와 호흡 보조가 필요한 환자는 그만큼 재택의료 이용 기간도 길었다. 전체 재택의료 환자 30%가 3개월 이상 집에서 의료서비스를 받았지만 식이 보조를 받은 환자는 48.7%로 더 높았다. 호흡 보조 환자는 그 비율이 59.4%까지 늘었다. 반면 배액관 관리(15.6%), 상처 관리(23.2%)를 받은 환자는 재택의료 이용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았다.

환자들은 재택의료를 이용하면서 병원 진료도 병행했다. 3개월 이상 재택의료 장기 이용 환자는 전원(100%) 1년에 최소 1번 이상 재택의료팀(통합케어클리닉)을 방문했다. 이들 중 66.5%가 최소 1번 이상 입원 치료를 받았고 17.9%는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았다.

전체 재택의료 이용자를 대상으로 봤을 때, 암 환자 85.2%가 1년 중 1번 이상 외래진료를 위해 병원을 찾았다. 77%는 응급의학과를 찾았다. 신경계질환자는 53.6%가 입원 경험이 있었고 응급의학과를 거쳐 간 환자 비율은 63.8%였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현재 재택의료 인프라가 중증질환자를 케어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더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재택의료 계획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교수는 "상급종합병원에서 급성기 치료를 받고 퇴원한 중증질환자 상당수는 집에서도 지속적으로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한다"면서 "재택의료를 희망하는 중증질환자가 존엄성을 유지하며 높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잇도록 포괄적인 재택의료 서비스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