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 의원 “제대로 사과했어야” 지적에 김 총리 "정권 잘못으로 시작"
의대생과 전공의를 향한 ‘특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전공의와 의대생 집단행동에 따른 의료공백으로 환자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도록 재발방지 약속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김윤 의원은 2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환자·시민사회단체들이 의대생과 전공의 복귀에 대해 재발 방지 약속 없는 특혜라고 비판했다”며 “사회적 화해와 치유 과정이 생략된 채 복귀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복귀하면서 국민과 환자들에게 제대로 사과하고 지난 정부에서처럼 의료 정책이 잘못됐다고 병원과 학교를 비우고 떠나는 일은 없을 거라는 약속을 했다면 저런 성명은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민석 국무총리도 “전적으로 동감한다”며 의대생과 전공의 복귀 과정에서 국민 동의를 얻는 과정이 생략된 부분에 대해 “굉장히 아쉽게 생각하는 대목”이라고 답했다. 다만 전공의와 의대생들의 사과 노력을 인정하면서 “함께 노력해 가야 한다”고 했다.
김 총리는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방향을 바꿔 복귀하는 게 좋겠다는 대화를 할 때 같이 있었다”며 “국민 마음을 얻는 과정이 필요하다면 사과 등도 하는 것이 좋겠다고 이야기 했고 그들도 그런 마음을 표시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전공의들은 그런(사과의) 표시가 있었고 의대생들은 그런(사과) 논의를 하던 중 내부 사정으로 비상대책위원회가 해체돼 사과 주체가 해체되는 상황이 돼 아쉽게 생각을 한다”며 “이후 확인해 보니 일부 의대에서 학생 이름으로 죄송한 마음의 표명도 있었다”고 했다.
김 총리는 “중요한 것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권 잘못으로 시작된 문제이기 때문에 풀 수밖에 없었다. 푸는 과정에서 아쉬움이 남아 있지만 앞으로 (이런 과정들이) 보완되도록 함께 노력해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 “의료대란 피해자 전공의·의대생 아닌 국민” 재발방지 요구 잇따라
- "조규홍·박민수 사과 요구" 의협에 시민사회·환자단체 “적반하장”
- 의대생 돌아갔지만 교육 현장은 “엉망”…학부모들, 특별 감사 요구
- "政, 선약속·후복귀로 전공의에 특혜…의료공백 재발 방지 입법 必"
- 전공의도, 교수도 내상 깊은 수련 현장…"회피 말고 직시할 때"
- [기획] "오늘도 아무 일 없길"…수련 의지 꺾는 '사법 리스크'
- 의료사고 논의 앞서 고개 숙인 의대교수 “사과부터”
- [기획] 다시 수련 꿈꾸는 전공의들…'전원 복귀'·'특혜'가 가린 문제들
- 전공의 만난 수련병원장 “수련환경 개선 노력 이어갈 것”
- "오해 풀고 양질의 수련환경 구축"…전공의-병원장 '공감'
- 의협 "고난 감내 국민께 송구…의료 정상화 노력 지켜봐 달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