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학 데드라인 다가오지만 ‘요지부동’
“학칙 자의적 해석해 협박” 반발 확산
의대협 “소송 비롯한 모든 수단 강구” 결의

정부와 대학의 '제적 경고'에도 의대생들은 복귀할 생각이 없어 보인다. 의대생들은 휴학을 승인하라는 성명을 발표하고 제적 시 연대 투쟁한다는 서명을 받고 있다(
정부와 대학의 '제적 경고'에도 의대생들은 복귀할 생각이 없어 보인다. 의대생들은 휴학을 승인하라는 성명을 발표하고 제적 시 연대 투쟁한다는 서명을 받고 있다(ⓒ청년의사).

복학하지 않으면 제적이라는 경고에도 의대생들은 요지부동이다. 정부와 대학 총장에 이어 의대 학장까지 복귀하라고 압박하는 상황에 오히려 분개했다. 의대생들은 ‘연대 투쟁’한다는 연서를 받으며 물러서지 않고 있다. 제적되면 소송도 불사한다는 입장이다.

의대가 있는 40개 대학 총장들은 21일까지 의대생 집단 휴학계를 모두 반려하겠다고 했다. 대학들은 의대생들에게 문서와 문자메시지 등으로 21일 혹은 오는 24일까지 복학 신청을 하지 않으면 제적이라고 안내했다. 아예 ‘퇴학’이라고 명시해서 보낸 대학들도 있다. 연세대는 24·25학번들에게 별도로 ‘제적되면 재입학이 불가능하다’고도 통보했다.

이같은 경고에도 의대생들은 돌아갈 생각이 없어 보인다. 제적 경고에 맞서 의대별로 ‘다른 단위/학년에서 휴학계 반려로 제적 등 부당한 조치가 발생하면 연대 투쟁한다’는 성명서에 서명하는 연서(連署) 운동도 전개하고 있다. 의대생들은 정부와 대학이 학칙을 자의적으로 해석해 제적으로 협박한다는 입장이다.

의대협, 제적 등 부당한 처우 당하면 소송키로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제적에 소송으로 맞서기로 했다. 의대협은 지난 19일 전국학생대표자총회 임시총회를 열고 ‘특정 단위, 혹은 한 단위의 특정 학년이라도 휴학계 처리 과정에서 부당한 처우를 당한다면 회원 권익 보호를 위해 소송을 비롯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기로 했다.

의대협은 지난 20일 이같은 사실을 알리는 성명서를 내고 “적법하게 제출한 휴학계는 여전히 유효하다”며 “휴학계 반려 조치는 그저 교육부가 내린 자의적인 지침에 따라 총장들이 담합해 결정한 비상식적 행태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이 성명서에는 전국 의대 학생 대표 40명이 이름을 올렸다.

의대협은 “학생은 자신의 학업 계획과 상황에 따라 휴학을 신청할 권리가 있다. 학칙과 제반 절차에서 규정하는 바를 충실히 따라서 휴학계를 제출했다”며 “이제는 사업자가 아닌 교육자로서의 모습을 보여 달라”고 했다. 그러면서 “회원들에 대한 조처가 외압에 의해 차별되지 않도록 가능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인하의대 학생들 "회장단 징계 시도 중단하라" 반발

집단 휴학을 주동한다며 의대 학생회장단을 징계하려는 움직임이 논란이 된 대학도 있다. 인하의대 학생 268명은 지난 17일 성명을 내고 학교 측이 의대 학생회장단 대상 징계 관련 경위 조사를 세 차례나 진행했다며 “부당한 압력”이라고 성토했다. 인하의대 학생회장단은 지난 10일과 12일, 13일 경위 조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하의대 학생들은 학교 측 경위 조사로 “학생회장단의 업무가 제한돼 학생자치기구가 제 역할을 하기 힘들어진 상황”이라며 “학생들의 의견을 대변하는 과정에서 학생회장단이 표적이 돼 징계와 연관된 경위조사를 받는 등 부당한 압력을 받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난해 11월 당선된 학생회장단이 수행한 업무는 “학생사회 요구를 충실히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학생들 개인의 자유 의지에 따라 자발적으로 참석하고 협조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학생회장을 비롯한 학생 대표들에 대한 부당한 징계 시도를 중단하고 학생 자치의 독립성을 존중하라”고 요구했다. 또 “휴학생들에 대한 제적 협박을 즉각 중단하고 학생들이 정당한 기본권과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