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승 의원, 신생아 집중치료센터 인력 현황 분석
신생아 집중치료센터 전공의 단 7명뿐…전문의도 감소
의대 정원 확대로 촉발된 의·정 갈등으로 고위험 신생아 등 중증 소아 환자 치료를 담당할 의사들도 사라지고 있다. 올해 6월 기준 신생아 집중치료센터(NICU)에 남은 전공의는 7명이 전부이며, 전문의도 전년 대비 8명 감소했다.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NICU에 남은 전공의는 단 7명이었다. 구체적으로 51곳 중 전공의가 있는 병원은 5곳으로 제주대병원 1명, 순천향대천안병원 2명, 부산성모병원 1명, 대구파티마병원 2명, 한림대성심병원 1명 등이 전부다.
NICU에 근무하는 전공의 수는 저출생과 소아청소년과 기피 등으로 급격히 줄고 있다. 지난 2019년 122명에서 2020년 111명, 2021년 95명, 2022년 88명, 2023년 49명으로 5년간 59.8% 감소했다.
특히 올해 NICU에서 근무하는 전문의가 감소한 병원도 있었다. 병원별 지난해 대비 올해 6월 기준 전문의 수 분석 결과, 전남대병원이 6명에서 5명으로, 충북대병원이 4명에서 3명으로, 제주대병원이 4명에서 2명으로, 순천향대천안병원이 7명에서 4명으로, 일신기독병원이 3명에서 2명으로 줄었다.
문제는 출생아 가운데 저체중 출생아나 조산아, 다태아 등 NICU에서 집중 치료가 필요한 중증 소아 환자는 늘고 있다는 다.
출생아 수는 지난 2019년 30만2,676명에서 지난해 23만28명으로 24% 줄었으나, 출생아 가운데 저체중 출생아 등 고위험 신생아 비율은 지난 2019년 19.2%에서 2023년 22.9%에 달해 약 5명 중 1명은 집중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박 의원은 “윤석열 정부가 초래한 의료대란 여파가 신생아 치료까지 미치고 있다. 갓 태어난 아이들이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 할 경우 생사의 갈림길을 오갈 수 있다”며 “의료진 부족으로 신생아 환자가 방치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세종충남대 신생아 집중치료센터 개소 "전국 최고" 자신
- '붕괴' 직전 소아응급실 "증원 철회하고 지원 대책 달라"
- 흔들리는 국립대어린이병원…"이대로면 정상 진료 어려워"
- 신생아 뇌병변 13억대 소송 기각…法 "의료진 판단 잘못 아냐"
- 생존 가능성 0%라는 22주 400g 쌍둥이 살렸지만 현실은 '적자'
- ‘분만 포기’하는 의료기관들…산부인과의원 10곳 중 9곳 “안 해요”
- 응급의료 대란 '없었다'는 정부에…醫 "황당한 자화자찬" 맹공
- "신생아‧소아 귀하다지만 말뿐"…미숙아 지원대책 '열악'
- 올해 2학기 의대 등록률 3.3%…9곳은 등록자 ‘0명’
- 신생아 진료 의사의 한숨 "인력 부족, 돈으로 해결할 수 없다"
- 시장·군수·구청장도 야간·휴일 소아진료기관 지정 가능?
- 의대 증원 ‘나비효과’…의료생태계 무너지는 충북대병원
- 국내서 가장 작게 태어난 260g 아기…부모 품 안겨 퇴원
- 산부인과 교수 불구속 기소에 젊은 교수들 "언제까지 개인에 책임 전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