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유지 업무 제외 참여…28일 파업 전야제
"의료공백서 환자 안전 지킨 노동자 요구 수용하라"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예고대로 오는 29일 총파업에 돌입한다. 의정갈등으로 인한 의료공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61개 의료기관의 2만9,705명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지난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국 61개 사업장 조합원 2만9,705명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투표율은 81.66%)를 시행한 결과 91.11%가 찬성했다고 밝혔다. 투표는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진행됐다.
보건의료노조는 사용자가 요구안을 외면할 경우 총파업 하루 전인 28일 각 의료기관별 총파업 전야제를 실시하고 29일 오전 7시부터 동시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또 응급실·중환자실·분만실·신생아실 등 환자 생명과 직결된 업무의 필수인력을 제외한 인력이 파업에 참여할 예정이다.
보건의료노조는 올해 사측에 요구안으로 올해 총액 대비 6.4% 임금 인상과 더불어 ▲조속한 진료정상화 ▲의사 집단행동에 대한 책임 전가 금지 ▲불법의료 근절과 업무 범위 명확화 ▲인력 확충 ▲주4일제 시범사업 ▲안전한 노동환경 마련 ▲간접고용 문제 해결 ▲사회 연대 ▲표쥰생계비 확보와 생활 임금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정부에도 ▲의사 진료거부로 인한 필수·중증·응급의료 공백 해소 지원 ▲공공·필수·지역의료 살리기 ▲인력 문제 해결 ▲지역·국가가 책임지는 간병과 건강돌봄체계 구축 ▲의료영리화 정책 중단 ▲국가재난응급의료체계 구축 ▲일-가정 양립 지원 ▲보건의료산업 주4일제 시범사업 지원 ▲ILO 협약 비준 ▲산별교섭 제도화와 노동기본권 확립 등을 요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사용자 측에 지난 7개월 동안 이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한 경영난에서 보건의료노동자들이 현장을 지켜왔다며 요구를 수용하라고 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의 집단 진료 거부로 인한 의료공백으로 인한 경영위기 책임을 더 이상 보건의료노동자에게 넘기지 말라”며 “보건의료노동자들은 경영 어려움을 핑계로 비상경영체계를 선포하고 강제 연차휴가 사용, 무급 휴가·휴직, 부서 이동 등 불이익에도 환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현장을 지켜왔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사용자 측에 요구안 해결을 위해 함께 나서라고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사용자는 노조의 요구를 적극 수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부는 교착 상태에 빠진 노사 교섭 해결을 위해 공공·필수·지역의료를 살리고 왜곡된 의료체계를 정상화하는 올바른 의료개혁이 실현될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재정적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전공의 집단 사직이 6개월이 넘긴 상황에서 의료공백을 메우고 헌신한 보건의료노동자의 절박한 요구에 정부와 사용자가 답할 차례”라며 “임금단체협상 교섭의 원만한 타결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정부와 사용자의 전향적인 태도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보건의료노조 파업 예고에 政 “대화와 협의로 문제 해결해야”
- "의료개혁 통해 의사뿐 아니라 모든 보건의료인력 확충해야"
- 보건의료노조 "돈벌이 병원 되지 않게 정부 지원 강화"
- 보건의료노조, 62개 병원에 쟁의조정 신청…결렬 시 29일 총파업
- "공공병원 토사구팽 당해…회복 방안 즉시 마련하라"
- 보건의료 노동자 76% "주4일제 도입 찬성"
- 의료 공백 속 대학병원 10곳 중 7곳 '비상경영' 선포
- 보건의료노조 "6월 내 의정갈등 해소 안 되면 전면 투쟁"
- 한덕수 총리 “보건노조 파업 동의 못해…간호법 제정 등 노력”
- ‘총파업’ 보건의료노조, 간호법 복지위 통과에 “교섭 타결 청신호”
- 국립암센터 노사, 단체교섭 잠정 합의로 파업 피해
- 보건의료노조 총파업 하루 앞두고 병원 11곳 교섭 타결
- 의료기관 62곳 중 59곳 교섭 타결…조선대병원 파업 돌입
- 보건의료노조 산별중앙교섭 마무리…"진료 정상화 협력"
- 국립중앙의료원 6월부터 주4일제 시범사업 진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