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의 큰 자산”이라며 처분 유예, 국시 연기
“국방·치안 수준에서 의료개혁 재정 지원”
법원 판결로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힘을 받은 정부가 전공의와 의대생을 향해 “국가의 큰 자산”이라며 “복귀해서 우리를 감시해 달라”고 했다. 이들이 복귀해 수련과 학업을 이어갈 수 있도록 행정처분을 유예하고 의사국가시험을 연기하겠다고도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의대 정원 증원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이 기각·각하된 16일 오후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한 후 전공의들이 “국가의 큰 자산이기 때문에 법적인 처분을 유예하면서 복귀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한 총리는 “전공의들에게 정말 간곡하게 말씀드리고 싶다. 어떤 의사도 병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곁을 떠나는 것은 합리화될 수 없다”며 병원으로 돌아오라고 했다.
한 총리는 이어 수련환경 개선이 실현될 수 있도록 재원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전공의들이 복귀해서 우리를 감시해 달라”고 했다.
한 총리는 윤석열 대통령이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을 2시간 20분 동안 면담한 일을 거론하며 “같이 논의하면서 좋은 의료제도를 만들려고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내년도 예산에 수련환경 개선 등에 필요한 재정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하겠다. 큰 우선순위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
오는 17일 열리는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도 “의료개혁을 뒷받침하는 예산을 어떻게 충분히 확보할 것인가, 국방과 치안 수준에서 의료개혁을 뒷받침하는 재정적 지원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충분히 논의하겠다”고 했다.
의대생들이 복귀해 유급 없이 수업을 이어갈 방안도 강구하고 있다고 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교육부 장관)는 “의대생들도 국가의 미래를 위해 소중한 인재들이라고 생각한다”며 “교육부는 의대생들이 한 명도 피해받지 않고 학업에 바로 복귀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모든 제도를 유연하게 운영해서 최대한 모든 학생이 돌아올 수 있도록 대학과 협력해 여러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의사국시 문제도 그런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며 의사국시 연기도 시시했다.
관련기사
- 정부 “2026학년도 의대 정원 유연하게 논의”
- 한 총리 “의료개혁, 큰 고비 넘어…교수·전공의·의대생 돌아오라”
- "필수·지역의료 회복하려면 증원 必"…의대생 '희생' 감수하자는 法
- [속보] 서울고법,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 '기각'
- 의학회 “의대 증원 이어 수련체계 개편도 졸속 행정”
- 전공의 ‘의원’ 수련 논란에 진화 나선 政
- 전공의들이 정부 수련환경 개선 약속 ‘공수표’로 보는 이유
- 政 의료개혁 밑그림 나왔다…‘의원’에서도 전공의 수련
- 법원 기각 결정에 의대 교수들 "더이상 희망도 없다" ‘망연자실’
- 시민·환자단체 “법원 기각 당연…강대강 대치 멈춰야”
- 의대 증원 집행정지 기각했지만 담당 변호사는 '무승부' 평가
- 혹시나가 역시나…법원 결정에 전공의·의대생들 "복귀 안 해"
- 법원 '기각' 與 “전공의 돌아와야” vs 野 “숫자 그리 중요한가”
- 정의당 강은미 의원 “政, 주춤하지 말고 의대 증원 박차 가해야”
- "5월 안에 승소"…의료계, 의대 증원 집행정지 '재항고'
- 醫 "'의대 증원=공공복리' 법원 결정에 필수의료 붕괴" 경고
- 가정의학과醫 “법원 기각으로 전공의 설득 명분마저 사라져”
- "정부에 증원 근거 내라더니…" '대법관 후보' 담당 판사에 의혹 제기
- 보건의료 노동자들 "법원 판결 환영…政 대책 내놔야"
- 조규홍 장관 “전공의, 복귀해야 구제책 마련”
- 국민의힘 “의료개혁, 의료계 완력으로 멈출 수 없어”
- 의정 갈등 속 의사 국시 접수 시작…교육 현장 '혼란 가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