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련병원협의회,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개선 방안 논의
수련병원장들 “근무조건 유연성 강화 등 제도 개선 必”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차원에서 도입된 입원전담전문의 제도가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 수련병원장들로부터 나왔다.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지난 20일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달개비에서 제2차 이사회를 개최하고 회원병원들의 전공의 사직 현황과 원인 조사, 입원전담전문의 제도 개선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입원전담전문의제도가 주치의와 괴리되면서 환자 안전과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효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또 병동 외 근무를 제한하는 근무조건을 병원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해야 하며 지원 제도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국회에 발의된 입원전담전문의 관련 '의료법 개정안'도 이같은 방향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이종성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병원급 의료기관과 공공보건의료기관 배치 규정, 국가와 지자체의 입원전담전문의 배치 지원 정책 수립·시행 등이 담긴 입원전담전문의 관련 조항을 신설했다.
수련병원협의회 윤을식 회장은 “궁극적인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전공의 수련을 위한 각 학회의 역할도 있겠지만 무엇보다 일선 수련병원장들이 모인 협회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김은영 기자
key@docdocdoc.co.kr
관련기사
- 내과 3년제 오히려 독 됐나…“대학병원이 ‘무의촌’되는 상황”
- 공공의료기관 입원전담전문의 채용 의무화 추진
- "입원전담전문의, 교수 임용 가능성 높으면 오래 근무한다"
- ‘입원전담전문의’, 상종 지정평가지표서 뺄 수도 있다?
- "우리가 주치의인데…" 외과 입원전담전문의들 고충 여전
- 대통령 지시로 발표한 ‘소아의료체계 개선안’, 전문 인력은 어디서?
- 효과 확인된 입원전담전문의 "지속되려면 수가 10% 인상 필요"
- 수련환경평가 통과율 ‘흉부외과’ 가장 낮아
- "입원전담전문의, 직업적 탈진에 취약…전문성 개발 독려"
- 입원전담전문의들이 현장 떠나는 이유? “업무 만족도 떨어져”
- 환자 10명 중 8명 입원전담전문의 몰라…"대국민 홍보 필요"
- ‘연구 멘토’ 유무 입원전담전문의 직업 만족도에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