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영 의원, 5년 간 과목별 평가결과 분석
“의사 수 확대 외 수련제도에도 관심 필요”
최근 5년 간 전공의 수련과목별 수련환경평가결과 통과비율이 흉부외과, 내과, 예방의학과, 이비인후과 순으로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보건복지부의 ‘최근 5년 간 전공의 수련과목별 수련환경평가결과’를 분석해 공개했다.
복지부장관은 ‘전공의의 수련환경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에 따라 수련병원 등 및 수련전문과목 지정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매년 수련환경평가를 실시하도록 돼있다.
수련환경평가 결과가 2년 연속 'Fail'이거나 수련환경평가를 고의로 거부하는 경우 수련전문과목 지정이 취소될 수 있다.
신 의원이 공개한 최근 5년간 수련전문과목별 평가 통과 비율을 살펴보면 ▲흉부외과가 90.4%으로 가장 낮았다. 이어 ▲내과가 95.2.% ▲예방의학과 96.3% ▲이비인후과 96.4%순이었다.
또한 2018년 기준 통과율 100%였던 예방의학과는 2022년 86.7%로 13.3%p 낮아지며 하락폭이 가장 컸다. 소아청소년과도 2018년 100%에서 2022년 93.8%로 6.2%p 낮아지며 두 번째로 하락폭이 컸다.
반면 결핵과, 마취통증의학과, 방사선종양학과, 진단검사의학과, 병리과 등 총 5개 과목은 최근 5년간 통과율이 100%였다.
2022년 진료과목별 평균 점수 최저 항목을 살펴보면 ‘전공의 학술활동’분야에서 흉부외과‧내과를 비롯한 총 8개 진료과가 최저점을 받은 항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전문의 학술활동’에서 최저점 항목이 있는 진료과가 6개, ‘전공의 진료활동’에서 최저점 항목이 있는 진료과가 5개, ‘전문의 진료활동’에서 최저점 항목이 있는 진료과가 1개 있었다.
신 의원은 “전공의 수련환경 평가는 지식과 능력을 겸비한 전문의 양성을 위한 최소한의 요건인 만큼 꼭 준수돼야 한다”며 “매년 전공의 수련환경 평가가 병원별로 진행되지만 평가 기준과 결과가 공개되지 않아 평가를 위한 평가라는 비판이 있다”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수련기간 중 전공의들이 내실있는 임상진료와 학술활동이 가능하도록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며 “의사의 양적 확대 논의에 앞서 의료계와 함께 올바른 의사 양성을 위한 교육수련 체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논의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