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의료연대 소속 단체에도 동참 촉구
“민주당, 일방적 강행 말고 원점 재논의하라”
대한치과의사협회 박태근 회장이 ‘의료인 면허취소법’(의료법 개정안)과 간호법 폐기를 요구하며 무기한 단식에 돌입했다.
박 회장은 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모든 일정을 중단하고 단식 농성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박 회장은 보건복지의료연대 소속 다른 단체들에도 동참을 촉구했다. 그러면서 “바람 앞의 촛불인 양 의료인 생존권을 마냥 지켜 볼 수가 없다. 일방적이고 반헌법적인 면허취소법과 간호법 강행을 중단하고 원점에서 재논의하라”고 했다.
박 회장은 이날 성명서를 통해 “더불어민주당이 간호법과 한 덩어리로 묶어 면허취소법을 강행처리하는 독선적인 행동을 보였다”며 “면허취소법은 의료와 무관한 다른 범죄로 인한 금고형 이상의 형사처벌과 집행유예만 받아도 면허를 취소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명백히 치과의사의 생존권을 박탈하고 헌법이 정한 직업 선택의 자유를 과도하게 침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회장은 간호법에 대해서도 “세계적으로 유일한, 간호조무사 직역에 대한 학력 제한과 응급구조사, 임상병리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등 직역에 대한 업무 침탈을 위한 누더기법”이라며 “간호사를 제외한 모든 보건의료 직역이 나쁜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했다.
박 회장은 이어 간호법과 면허취소법 철회를 요구하며 “부적격 의료인을 퇴출시키고 의료인 면허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전문가단체의 자율구제를 기반으로 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라”고 했다.
그는 “국회가 보건의료인의 의지를 존중하지 않고 국민과 의료인 간 분열을 조장한다면 보건복지의료연대와 함께 모든 방법을 동원해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면허 취소 범위 확대, 의료인에 관리 권한 위임해야"
- 비대위 체제로 전환된 의협…“파업 등 극단의 투쟁 준비”
- 치협, 보건복지의료연대 총궐기대회 치과계 결집 강조
- 한의협·치협도 “면허취소법 과도한 징벌적 규제” 철회 요구
- 면허취소법·간호법에 고개 숙인 이필수 회장 “아직 안끝났다”
- '단식' 치협 박태근 회장 "면허취소법, 보복성 법안"
- 12개 보건의료단체와 연대 강화하는 의협 비대위
- 민주당 향한 보건의료인 분노…"갈라치기하는 야당, 악법 폐기하라"
- 간협, 신경림 전 회장 중심 간호법제정특위 구성키로
- 치협 박태근 회장 연임 성공…득표율 50.75%
- "의협, 집단이기주의로 정치 이득만 추구"
- 간호법 처리 D-3 박명하 위원장 단식 돌입…"총파업 불사"
- 치위생사가 간호법 지지?…"사실과 달라, 중도 입장 유지"
- 간협이 간호법을 '부모돌봄법'이라고 강조하는 이유는?
- 치협 박태근 회장, 연임 성공했지만 부정 선거 의혹에 고발 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