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한의원' 일차의료 영역서 ‘게이트 키퍼’ 역할 해야

대한한의사협회가 일차 의료영역에서 활동하는 한의 의료기관들도 의료전달체계 정상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대한한의사협회가 일차 의료영역에서 활동하는 한의 의료기관들도 의료전달체계 정상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가 의료전달체계 정상화 등이 담긴 ‘의료개혁 1차 계획’을 발표하자 한의계가 일차의료 영역에서 활동하는 한의 의료기관들도 의료전달체계 정상화 과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7일 입장문을 통해 “의료전달체계 회복과 정상화를 위해서는 특정 종별만의 구조개선으로는 완성될 수 없다”며 “일차의료 영역에서 독보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한의계 참여는 정책 설계 과정부터 고려해야 할 필수요소로 국민 건강권과 선택권 보장을 위해 반드시 정책에 포함돼야 한다”고 말했다.

한의협은 “대부분 일차의료기관인 한의계가 대한민국 의료체계에서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수호하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고 그 안에서 게이트 키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할 것을 의료개혁특위에 요청한다”고 했다.

한의협은 ‘일차의료 방문 진료 수가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한의원 수는 2,676개소로 의원(892개소)보다 3배 더 많다는 점을 강조하며 “일차의료와 공공의료의 주요 서비스인 방문 진료, 돌봄, 만성질환, 고령 환자 요양과 건강관리는 한의약이 강점을 가진 분야로 미래를 준비하는 의료개혁 계획에 한의약이 필수적으로 포함돼야 하는 이유”라고도 했다.

의료개혁특위의 의료개혁 계획이 의료계와 상급종합병원 중심으로만 추진될 경우 "실패한 정책이 될 것"이라고 했다.

한의협은 “의료개혁특위의 공표는 환영할 만한 개혁안이지만 의료계와 상급종병만을 대상으로 의료정책을 추진한다면 결국 특정 직역 독점을 강화하게 돼 휘둘리는 실패한 정책이 될 것은 자명한 일”이라며 “다양한 직역의 의견을 수렴해 공정하고 투명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려면서 “의료전달체계 개선 등 대한민국 의료의 정상화와 국민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한 의료개혁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것을 밝힌다”고도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