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중 상급종합병원 전문의 중심 시범사업 시행 목표
비상진료대책 운영 보강하고 PA 간호사 지원도 고민

보건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은 30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의 복귀가 요원하더라도 비상진료대책을 보강하며 9월 중 전문의 중심 병원 시범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사진제공: 보건복지부).
보건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은 30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전공의들의 복귀가 요원하더라도 비상진료대책을 보강하며 9월 중 전문의 중심 병원 시범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사진제공: 보건복지부).

의대생과 전공의들의 복귀가 요원해 신규 의사와 전문의 배출에도 비상이 걸렸지만 정부는 그 대책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전문의 중심 병원 전환'을 강조하고 있다. 진료지원(PA) 간호사 지원 방안도 고심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은 30일 오전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에서 의대생 의사국가시험 거부와 하반기 전공의 모집 저조 대책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정책관은 “전문의 중심 병원은 9월 시범사업을 하려고 준비하고 있다”며 “지난주 상급종합병원을 중심으로 설명회를 가졌고 의견 수렴 후 오는 9월 중 (시범사업을) 실행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공의 대부분이 복귀하지 않는 상황에 대해 “비상진료대책을 운영하고 있고 여러 응급실을 중심으로 약간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인지하고 있다”며 “이 부분을 중심으로 대책을 마련해 보강 하면서 추진해 나가려고 한다”고 했다.

김 정책관은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정부와 의료계 간 쌓여 왔던 불신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한다”며 “의료개혁 4대 과제를 추진함으로써 불신을 해소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도 했다.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구조개혁 추진에 있어 PA 간호사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김 정책관은 “전공의들이 빠지면서 상당 부분 PA 간호사들이 그 역할을 대신해 주고 있다”며 “PA (시범사업) 제도를 시작할 무렵 1만명 정도에서 지금 1만3,000명 정도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정책관은 “상급종합병원이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가는 과정에서 구조개혁을 진행할 예정인데 상당 부분 PA 간호사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이 부분에 대해 다양하게 지원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