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비대위 "전공의 복귀 해결법 아냐…올바른 정책부터"
필수의료과 복귀율 더 떨어질 듯…"사직서 일괄 처리 인권유린"
오늘(15일)까지 사직·복귀를 결정하라는 정부 요구에 전공의들은 아예 응하지 않기로 했다. 교수들은 전공의 인권을 짓밟는 '폭압적 조치'라고 반발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15일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공의 압박을 멈추라고 했다. 전공의가 돌아오길 바라며 "정책을 바로 세우고 투명하고 합리적인 결정 과정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사직서 수리 일자는 "전공의 의사를 존중해 결정해야 한다"고 분명히 했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이날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에게 보내는 입장문을 공개하고 "전공의 복귀를 진정 바란다면 애초에 이들이 왜 사직서를 냈는지 그 이유부터 생각하라"며 "전공의 7대 요구안을 의료개혁특별위원회 정책으로 모두 반영했다고 하나 우리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복귀를 거부한 전공의와 학생들을 다시 한번 지지하며 "이들이 하루빨리 의료 현장과 배움의 장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이제라도 일방적으로 강행한 불합리한 정책을 거둬들이라"고 했다.
서울의대 비대위가 보는 전공의 복귀율은 5% 이하다. 한세원 교수(혈액종양내과)는 "사직한 전공의 95%가 의사의 변함이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소아청소년과)은 "지금 상황에서 (전공의 본인 의지에 따라) 사직서가 수리돼 발생하는 결원은 그리 많지 않으리라 예상한다"며 "소위 필수의료로 불리는 기피과는 그 수가 특히 적으리라 본다"고 했다.
정부가 전공의 복귀를 "종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전공의 사직이 모든 문제의 핵심"이라고 생각하는 한 사태 해결은 요원하다고도 했다.
하은진 교수(신경외과)는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아서 의료 공백이 생긴 게 아니다. 전공의 사직이 (현재 사태의) 원인이고 복귀는 해결의 시발점이라고 흘러가선 안 된다"고 했다.
강 위원장은 "정부가 전공의 사직서 일괄 처리라는 폭압적인 처사를 실제로 진행하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또다시 인권 유린에 해당하는 조처를 하지 않으리라 기대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 의대 교수들 “수련병원장들 전공의 보호 책임 있다’”
- '절박감'에 의협 합류 사직전공의…"같이 '젊은 의협' 만들자"
- 오늘까지 사직·복귀 결정? 전공의들 "무대응·무응답"
- '전공의 사직 처리 D-day'…수리 시점 두고 교수들 반발
- 경찰 “전공의 복귀 방해, 가용 수사역량 총동원해 엄단”
- 政 전공의 복귀 조치 후에도 전공의 사직률 ‘1%’ 못 넘어
- "의대생·전공의 복귀 대책?…'사후약방문' 아무 효과 없다"
- ‘빅5’ 등 수련병원들 “15일까지 복귀·사직 여부 알려달라” 공지
- 36개 의대 교수들 “이제는 사직서 수리 명령이냐” 분개
- "전공의 보호" VS "내쫓기"…서울대병원 사직 처리 갑론을박
- “조종과 계략, 이간질만 가득한 전공의 복귀대책”
- 9월 모집 혼란 속 "전공의도 복귀·사직 결정해야" 목소리도
- 돌아온 임현택 "의대생·전공의, 비난 당연…시행착오였다" 인정
- 政 “수련병원 결원 수요 제출 안하면 9월 추가모집 없다”
- "지금 돌아와야 한다" 전공의 설득 나선 서울대병원 소청과
- 수련병원協, 무응답 전공의 사직 수리 보류…“페널티? 소용없어”
- 조규홍 장관 “복귀 전공의 많지 않을 듯”…野 "무책임‧무능"
- '사직합의서' 보낸 서울대병원…"서명하면 책임 묻지 않겠다"
- 서울대병원장에 서신 보낸 강희경 위원장 "노동착취자로 남을수도"
- "한국 의료, 더는 정책 부작용 못 견딘다" 젊은 교수의 절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