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비대위 투쟁 로드맵·방향 정할 1차 회의 개최
김택우 위원장 "비대위는 분골쇄신 각오로 임해야"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17일 1차 회의를 열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17일 1차 회의를 열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가 본격적인 투쟁노선 수립에 나섰다. 직역을 가리지 않고 "하나로 뭉쳐"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패키지 정책을 철폐하겠다는 각오다.

의협 김택우 비대위원장은 17일 용산 회관에서 개최한 1차 회의 모두 발언에서 "지난 2000년 의약분업 사태와 비견 될 정도의 비상시국이다. 의료계 전체가 똘똘 뭉쳐야 한다"면서 "각 비대위원은 분골쇄신의 자세로 비대위 활동에 임해달라"고 했다. 이번 회의는 의료계 투쟁 로드맵과 활동 방향, 방법을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비대위 활동은 "2,000명 증원 철폐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민 여론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정부의 부당한 정책 추진 사실을 국민에게 널리 홍보하는 데 주안점을 두겠다"고 했다.

이어 공개한 선언문에서는 "비대위를 구심점으로 의대생과 전공의, 교수, 봉직의, 개원의 모든 회원이 총력 투쟁해 정부의 야욕을 막아야 한다"며 "비대위는 가용한 모든 적법한 수단과 방법, 의협과 회원 역량을 결집해 투쟁에 나서겠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의대 정원 확대가 미래 의료 체계에 미칠 영향에 대한 깊은 고민 없이 정부는 정치 권력의 압력을 행사하는 어리석음을 저질렀다"며 "정부의 의지가 확인된 상황에서 우리에게 남은 선택은 하나밖에 없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미래의 의료를 책임질 후배 의사에게 부끄럽지 않도록 너와 내가 함께 어둠을 뚫고 억압의 사슬을 끊어내 미래 의료 체계를 반석에 올릴 위대한 투쟁이 시작됐다"며 "부당한 의료 정책으로 정부가 때리는 대로 맞으며 인내한 의사의 고통을 이제는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사 스스로 "의료 정책을 만드는 주체"가 돼야 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국민을 빙자한 가증스러운 제도가 얼마나 의사를 괴롭혔는지 기억하고 악습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며 "분노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1선이 무너지면 2선이 나서고, 2선이 무너지면 3선이 나서는 불굴의 의지로 재앙을 함께 막아내자"고 했다.

김 위원장은 "우리는 과거 여러 번 쓰라린 경험을 통해 매우 단호해졌다. 작은 것에 굴복하면 더 큰 요구와 위협에 직면하게 된다"며 "억압이 두려워 아무 일도 하지 않으면 바꿀 수 없다. 정부 이간질에도 우리 목적을 이룰 때까지 대동단결하고 오직 하나로 뭉쳐 투쟁에 반드시 승리하자"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