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 2895명 중 94% 파업 찬성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이 인력 충원,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오는 17일 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소속인 서울대병원 조합원 2,895명 중 94%가 파업에 찬성했다.
서울대병원 노조는 10일 병원 시계탑 앞에서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을 열고 조합원 대상으로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진행된 파업 찬반 투표 결과를 공개했다. 투표에는 서울대병원, 보라매병원, 강남센터에서 근무하는 조합원 2,895명이 참여했으며 이들 중 93.6%인 2,709명이 파업에 찬성했다. 반대는 181명(6.3%)이었다(무효 5명).
서울대병원 노조는 지난 6월 25일부터 단체교섭 15차례, 실무교섭 30여차례를 진행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며 노조 요구에 대한 수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오는 17일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서울대병원 노조는 병원 측에 ▲필수 인력 충원, 임금 체계 개편 ▲국립대병원 보건복지부 이관 동참을 요구했으며 정부에는 총 인건비제를 개선하고 인력 통제를 중단하라고 했다.
서울대병원 노조는 “총 인건비제로 서울대병원 직원들의 실질 임금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며 “2015년 개악된 임금 체계는 이런 현상을 가속화하며 입사 5년 후부터는 사실상 국립대병원 최하위권 임금을 기록하고 있다”고 했다.
또한 “작년 전공의 집단행동 상황에서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환자 감소를 이유로 대다수 부서에 근무별 인력을 축소했고 특히 전공의 업무를 위한 진료지원(PA) 간호사 대체인력은 충원하지 않았다”며 “환자 중증도는 상승하면서 필수 인력 부족은 노동강동 상승을 넘어 환자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했다.
서울대병원 노조 권지은 교섭단장은 임금체계 개악으로 “일반직은 10년 차부터 임금이 급격히 하락하며 20년 차는 타 국립대병원보다 월 100만원이 적다. 운영기능직도 10년 차부터 임금 하락이 발생한다”고 했다.
보건의료단체연합 전진한 정책국장은 이날 서울대병원 노조 파업을 지지한다며 “노조 요구대로 의사성과급제부터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국장은 “환자를 상대로 수익을 낼수록 의사에게 인센티브를 주는 이런 제도는 의사에게 윤리를 저버리라는 명령이고 의료가 가진 본령을 부정하는 구조를 지우는 것”이라며 “국립대병원이 얼마나 썪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 서울대병원 노조, 총파업 예고…의사 성과급 폐지 등 요구
- 산별교섭 잠정 타결…병원 71곳, PA제도화·주4일제 추진
- 의료기관 91곳 임단협 타결…대전어린이공공재활병원은 파업 돌입
- 보건의료노조, 산별총파업 철회…" 9.2 노정합의 이행 새 국면"
- 강원대병원 노조도 17일 총파업 예고…병원 설립 후 최초
- "李 공공의료 말뿐이냐"…국립대병원 파업 앞두고 政 비판 잇따라
- 서울·강원·경북·충북대병원 노조, 오늘 하루 공동 파업
- 서울대병원 등 24일 2차 파업 예고…"말잔치 국정과제"
- “100세까지 일해야 최고 호봉” 서울대병원 노조, 무기한 파업 예고
- 서울대병원 노조, 무기한 파업 돌입…병원장 사퇴 요구도
- 서울대병원 노사, 임금 3% 인상 등 잠정 합의…파업 중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