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테카바이오(대표 정종선)가 10일부터 12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 2024'(BIX 2024)에서 기업 간 파트너링을 통해 새로운 고객사를 유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BIX 2024는 한국바이오협회와 RX 코리아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후원하는 바이오산업 종합 행사로, 전시, 콘퍼런스, 파트너링, 기업 발표 등을 통해 업계 네트워킹과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한다.
신테카바이오는 이번 행사에서 선개발 후결제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서비스 ‘DDC(DeepMatcher Drug Candidate)’를 중점적으로 홍보하며 매출 확보에 주력할 예정이다. DDC 서비스는 고객사의 관심 타깃에 대해 AI로 스크리닝을 진행한 후, 유효물질을 확인한 뒤 서비스 진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해 고객사의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신테카바이오는 지난 6월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에서 업무 협약을 체결한 바이오 전문 글로벌 라이선싱 플랫폼 ‘바이오시드인(BioSeedin)’과 후속 미팅을 진행해 STB 런치패드 홍보 및 유효물질 기술 이전에 관한 협의를 이어갈 계획이다.
STB 런치패드는 AI 신약 플랫폼 ‘딥매처’를 활용해 15종 이상의 질환과 관련된 130여 개의 타깃 단백질에 대해 도출한 유효물질 데이터베이스로, 신약개발을 유효물질 단계부터 시작할 수 있으며, 원하는 타깃에 대한 유효물질 발굴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신테카바이오는 지난 3일부터 사흘간 제주에서 열린 '인터비즈 바이오 파트너링&투자포럼'에도 참가해 국내외 잠재 고객사와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하며 고객사 유치에 힘쓰고 있다.
신테카바이오 이병호 부사장은 “선개발 후결제 DDC 서비스는 잠재 고객사의 리스크를 줄여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라며, “다수의 파트너사와 긍정적 논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이번 콘퍼런스에서도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바이오USA 2024] 신테카바이오 “매출 본격화 준비됐다”
- "AI 신약 개발하려면 기술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매칭 필요"
- 문 열린 'MASH 치료제 시장', 한국산 신약 개발은?
- 신테카바이오, 미국 법인장에 최준혁 前 타겟헬스 CEO 영입
- 신테카바이오, ‘CLK2 저해제’ 후보물질 특허 출원
- 신테카바이오, 신약개발 생성형 AI '3bm GPT' 특허 등록
- 신테카바이오 "AI플랫폼으로 건선 치료 후보물질 등 발굴"
- 신테카바이오, 루다큐어와 AI 항암제 물질 발굴 계약
- 신테카바이오, 정종선 대표 보유주식 담보로 차입금 조달
- 신테카바이오, 美프라그마와 최대 45억 신약개발 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