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현안협의체 재개에 비대위와 엇박자 지적
전의총 "집행부 저의 무엇이냐…협상 중단" 요구
대한의사협회의 의료현안협의체 재개가 간호법과 '의료인 면허취소법(의료법 개정안)' 저지를 위한 단일 대오를 깨트린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의협 집행부와 비상대책위원회가 엇박자를 내고 있다는 것이다.
전국의사총연합은 23일 의료현안협의체를 포함해 정부와 모든 대화를 중단하라며 이같이 말했다.
전의총은 "한쪽은 대국회 투쟁을 외치며 전력을 쏟으려 하는데 다른 한쪽은 독단적으로 정부와 대화를 재개했다. 외부에서 보면 절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 "자칫 의협 집행부와 비대위가 전혀 협조하지 않는다는 의심을 살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필수의료 살리기'를 목적으로 의료현안협의체를 진행하고 있지만 그 의제나 참석 인사 구성을 보면 의협 집행부의 진정성 역시 의심된다고 했다.
전의총은 "보도에 따르면 정부는 필수의료 살리기를 명분으로 의대 증원을 언급했다"면서 "정상적인 집행부라면 의대 증원에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는 순간 자리를 박차고 나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의총은 "의협 대표 인사 구성을 보면 이번 의료현안협의체 명분인 필수의료 살리기에 진정성이 있는지도 의심된다. 무너져가는 해당 필수의료과 의사회 인사가 단 한 명도 없다"고도 했다.
또한 '코로나19 안정화 이후'라는 의정협상 재개 요건을 갖추지 않았는데 의협 집행부가 "아무런 사전 언급 없이 협상 내용조차 무시하고 재개했다"면서 "그 저의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면서 "정부 입에서 의대 증원이 나오는 순간 더 이상 대화는 없는 것이다. 의협 집행부는 당장 의료현안협의체를 중단하고 간호법과 의사면허박탈법 저지 투쟁을 전력으로 도우라"면서 "민심을 무시하는 독단적인 행정을 지속하면 회원의 극단적인 저항을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 의료인력 확충 화두 던진 복지부 ‘의사 수 확대’ 논의될까?
- 다시 만난 복지부-의협, ‘비대면 진료 제도화’ 다시 엇박자?
- ‘투쟁은 민주당, 협상은 정부’…의협, 투 트랙 전략 성공할까
- 복지부-의협, 한달 만에 의료현안협의체 재개
- 의료현안협의체 재개 원하는 복지부, 의협 빼고 가나
- 복지부, 의협에 ‘의료현안협의체’ 재개 공식 요청
- “뒤통수 맞았다” 강경해지는 의협…의정협의 중단에 파업까지
- 의협 "간호법, 의사vs간호사 아닌 전체 보건의료인 문제"
- ‘간호법‧면허취소법’ 국회 본회의 상정된다
- 본회의 부의된 '면허취소법', 수정안 논의되나
- 간호법·면허취소법 본회의 부의…"아직 끝나지 않았다"
- 간호법·면허취소법 대통령 거부권 요구…“끝까지 싸운다”
- 주호영 원내대표 "간호법, 정권 타격 목적" 발언에 간호계 분개
- 본회의 앞둔 간호법 …여당 집중 공략 나선 간호계
- 간호법 대치 "국회 통과 시 총궐기" VS "민심 외면하는 의협"
- 의협 “정총에서 의사 인력 확대 논의? 코로나 안정화부터”
- "선배들이 나서라"…총파업에 냉담한 전공의·의대생들
- '간호법 암초' 만나 속도 내지 못하는 의정협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