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종합병원 소아 응급환자 전원 어려움 토로
“적시 검사 제공 못해 치료 차질 빚고 있는 현실”
소아청소년병원에서도 컴퓨터단층촬영(CT)을 허용해 달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상급종합병원으로 소아 응급환자 전원이 어려워지면서 소아청소년병원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하고 있지만 CT 등 특수의료장비 도입이 제한돼 진료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몇 년간 소아 응급환자의 상급병원 전원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작 소아청소년병원은 CT 검사를 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조차 마련돼 있지 않아 환자에게 적시 검사를 제공하지 못해 치료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단순 방사선 촬영이나 초음파만으로는 소아 응급환자 대응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고 했다. 현행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CT 등 특수의료장비는 200병상 이상인 의료기관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규모가 작은 소아청소년병원들은 도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초음파만으로는 감별이 어려운 충수염, 장중첩증, 장회전 이상 등 복부의 해부학적 이상은 골든타임 내 CT 검사가 필요하지만 전국 120여곳의 소아청소년병원은 성인 병원 중심의 규제로 인해 CT 장비를 보유하거나 사용할 수 없어 환자를 앞에 두고 애만 태우고 있다”고 말했다.
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미국소아과학회가 ‘현명한 선택(Choosing Wisely) 캠페인’을 통해 불필요한 검사를 지양하고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라고 권고했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정기석 이사장도 CT 과잉 사용 문제를 제기한 것 모두 올바른 방향”이라며 “그러나 진료 현장에서 CT 부재로 벌어지고 있는 진료 공백 문제도 함께 해결하려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들은 “(CT가) 필요한 곳에 허용되지 않고 불필요한 곳에 남용되는 현재 구조가 문제”라며 “소아 환자에게 적시 검사를 제공하지 못해 차질을 빚고 있는 현실이 함께 개선돼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 1인실 요구에 진땀 빼는 아동병원들…“분만병원 기준으로 늘려 달라"
- 상급종합병원 소아중증환자 진료마저 ‘흔들’…“인력 지원책 필요”
- 의사 없는데 소아감염병 환자 급증…아동병원 ‘아비규환’
- 무너진 ‘소아의료체계’…상급종합→아동병원 ‘쏠림 심화’
- 소아 의료체계 ‘허리 역할’ 아동병원들 “지원은 상급종합병원만”
- 보호받지 못하는 ‘어린이들’…"소아필수약 수급 불안정 제자리걸음"
- 아동병원協 “소아청소년 정책 부재, 의료체계 붕괴로 이어져”
- 경기도, 소아 진료망 ‘강화’…야간·휴일 진료기관 45곳으로 확대
- "소아환자 생존 가능성이 정책 따라 좌우…불평등 발생"
- 응급구조사에 심장 초음파 촬영시킨 심장내과 전문의들 '면허 정지'
- 이대론 안된다…소청과학회, 소아의료 정책 혁신 요구
- 지역 '야간 어린이병원' 지정법 발의…운영비 등 지원
- 특수의료장비 40% 노후…"장비 교체 유인책 부족"
- 아동병원들이 달빛어린이병원 지정에 “역차별”을 언급한 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