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종합병원 소아 응급환자 전원 어려움 토로
“적시 검사 제공 못해 치료 차질 빚고 있는 현실”

소아 응급환자 상급종합병원 전원이 어려워지면서 소아청소년병원들이 적기 치료를 위한 CT  등 특수의료장비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소아 응급환자 상급종합병원 전원이 어려워지면서 소아청소년병원들이 적기 치료를 위한 CT 등 특수의료장비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소아청소년병원에서도 컴퓨터단층촬영(CT)을 허용해 달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상급종합병원으로 소아 응급환자 전원이 어려워지면서 소아청소년병원으로 쏠림현상이 발생하고 있지만 CT 등 특수의료장비 도입이 제한돼 진료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최근 몇 년간 소아 응급환자의 상급병원 전원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정작 소아청소년병원은 CT 검사를 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조차 마련돼 있지 않아 환자에게 적시 검사를 제공하지 못해 치료에 차질을 빚고 있다”고 말했다.

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단순 방사선 촬영이나 초음파만으로는 소아 응급환자 대응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고 했다. 현행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CT 등 특수의료장비는 200병상 이상인 의료기관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규모가 작은 소아청소년병원들은 도입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초음파만으로는 감별이 어려운 충수염, 장중첩증, 장회전 이상 등 복부의 해부학적 이상은 골든타임 내 CT 검사가 필요하지만 전국 120여곳의 소아청소년병원은 성인 병원 중심의 규제로 인해 CT 장비를 보유하거나 사용할 수 없어 환자를 앞에 두고 애만 태우고 있다”고 말했다.

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미국소아과학회가 ‘현명한 선택(Choosing Wisely) 캠페인’을 통해 불필요한 검사를 지양하고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라고 권고했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정기석 이사장도 CT 과잉 사용 문제를 제기한 것 모두 올바른 방향”이라며 “그러나 진료 현장에서 CT 부재로 벌어지고 있는 진료 공백 문제도 함께 해결하려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들은 “(CT가) 필요한 곳에 허용되지 않고 불필요한 곳에 남용되는 현재 구조가 문제”라며 “소아 환자에게 적시 검사를 제공하지 못해 차질을 빚고 있는 현실이 함께 개선돼야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