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민 의원 “정원 논의 없이 의료계 설득 불가”
더불어민주당이 여야의정협의체와 별개로 의료 대란 해소를 위해 의료계와 소통하겠다고 했다. 여야의정협의체에서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문제를 논의해야 실마리가 풀린다며 불참 입장도 재확인했다.
민주당 박주민 의원은 11일 오마이TV ’박정호의 핫스팟‘에 출연해 “민주당이 제시했던 (협의체 참여) 조건은 의료계 입장을 받아 2025학년도 정원 규모에 대해서도 논의 테이블에 올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정부는 논의 불가하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여야의정협의체를 출범했지만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의료계 단체는 매우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현재 참여를 밝힌 두 단체마저도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논의가 안 되면 진정성 있는 대화가 되기 어렵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모양만 갖춘 것만으로는 안 될 것”이라고 했다.
국민의힘이 민주당에 참여 협조 공문을 보낸 것에 대해서도 박 의원은 “오늘(11일) 아침 8시에 모인다면서 어제(10일) 오후 4시 공문 한 장을 보낸 게 전부”라며 “오히려 (민주당이) 안 오길 바란 거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고도 했다.
민주당은 의정 갈등 해결을 위한 ’조건‘을 만들기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박 의원은 “당초 협의체를 주장한 사람으로서 막대한 책임을 갖고 있다. 성공적인 협의체가 될 수 있도록 조건을 만들고 있다”며 “그러려면 의료계가 (협의체에) 대폭 들어와야 한다. 또 의료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달라진 태도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임현택 회장 불신임(탄핵)으로 새로 구성될 대한의사협회 집행부와 전공의 등 의료계 내부 설득과 소통에 주력하겠다고도 했다. 박 의원은 “대화가 잘 될 수 있도록 옆에서 (정치권이) 도와야 하는 상황이다. 어제도 의료계와 통화를 했다”며 “한편으로는 정부도 유연한 태도를 가지도록 여당이 설득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박 의원은 “무조건 (여야의정협의체를) 출범 한다고 의료계가 설득되거나 정부가 태도를 바꾸는 것은 아니다”라며 “좋은 조건이 형성돼서 많은 의료계 인사가 들어오고 의료공백 사태를 위한 틀을 만들어야 한다. 당장 여야의정협의체 사진 찍는 게 중요하진 않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 대전협 박단 "여야의정협의체 무의미, 25년 의대 모집 정지해야"
- 민주당 빠진 ’여야의정협의체‘ 첫 회의서 무슨 말 오갔나
- 의협 新 비대위·집행부에 커지는 전공의 영향력…"박단 합류" 전망도
- '여의정'협의체 출범하지만…국힘 “2025학년도 정원 논의 불가”
- 의협, 비대위 체제로…새 회장도 한 달 안에 선출
- 의대 증원 후 5조 투입? 국회 전문위 “변동성 매우 커 비효율적”
- “전공의 몰아내놓고…수련환경 개선 예산 3천억 누구에게 집행하나”
- 尹 대국민담화에 냉랭한 의료계…"답 없다"‧"기대도 안 해"
- 회장 탄핵 후 '공백기' 누가 이끄나…비대위원장 선거 시작
- 醫 비대위 참여 신중한 전공의들 "여야의정, 정부 좋은 일만"
- "여야의정협의체서 의료사고 형사특례법 논의 없어야"
- 국회 마주한 박단 "25년 의대 증원 중단 없이 복귀도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