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증원 백지화 주장 철회,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촉구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대한의사협회 임현택 회장 불신임(탄핵)에 "사필귀정"이라고 했다. 이를 계기로 의협이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해야 한다고도 했다.
보건의료노조는 11일 입장문을 내고 "임 회장에 대한 압도적 탄핵 가결은 사필귀정"이라며 "의협은 변화와 쇄신의 기회를 맞이했다. 9개월째 장기화되는 의정갈등과 의료대란 해소의 계기가 돼야 한다"고 했다.
의협이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를 고집하지 말고 전향적인 태도 변화로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하라고 요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의사단체가 주장하는 '2025학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는 대화와 협의를 가로막는 족쇄일 뿐"이라며 "의료대란 해소와 조속한 진료 정상화를 논의하는 자리에 정치적 이익을 노린 정쟁이 끼어들어선 안 된다"고 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정당과 의사단체들은 정치적 이해타산과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편협한 아집을 버려야 한다"며 "우리나라가 직면한 지역·필수·공공의료 붕괴를 막아야 하는 당사자로서 전향적인 태도로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해 국민 앞에 의료대란 해법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임 전 회장의 결정적인 패착은 국민이 원하는 의료개혁을 거부하고 의정갈등을 극단으로 끌고 나가 집단이기주의에 매몰되면서 국민의 지지와 신뢰를 잃었던 점"이라며 "의협은 의료대란을 극복할 사명감과 역량을 갖춘 지도부를 뽑아 올바른 의료개혁에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임 전 회장의 탄핵과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새 집행부 선출 과정이 의협의 변화·쇄신과 장기화되는 의정갈등·의료대란 해소의 전환점이 되길 바란다"며 "의협과 의사단체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를 촉구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 의협 新 비대위·집행부에 커지는 전공의 영향력…"박단 합류" 전망도
- 의협, 비대위 체제로…새 회장도 한 달 안에 선출
- [속보] 임현택 의협 회장 탄핵…대의원 76% 찬성
- 민주당 빠진 ’여야의정협의체‘ 첫 회의서 무슨 말 오갔나
- '여의정'협의체 출범하지만…국힘 “2025학년도 정원 논의 불가”
- "정부·의사단체 현 사태 '공동정범'…여야의정협의체 기대 없어"
- 보건의료노조 산별중앙교섭 마무리…"진료 정상화 협력"
- 국립대병원 노조 "의료개혁 의사 중심…공공성 강화해야"
- ‘의료 대란’ 경고음 “尹 정부 실패 ‘기폭제’”…여당 ‘정치쇼’ 비판도
- "사회적 공론으로 풀자"…'국민중심의료개혁연대회의' 출범
- 오주환 교수 "연대회의, 사실상 尹정부 '2중대'…해산하라" 직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