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정지 환자 처치 가능한 병원 파악해 공유
“어렵게 지켜 온 응급의료 분야 개선되도록 최선”

대한응급의학회는 '응급의료 현안 개선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응급의료체계 개선 방안 논의를 시작했다(사진제공: 응급의학회).
대한응급의학회는 '응급의료 현안 개선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응급의료체계 개선 방안 논의를 시작했다(사진제공: 응급의학회).

응급실이 위기다. 전공의에 이어 전문의도 이탈하는데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는 급증했다. 이에 대한응급의학회는 특별위원회를 긴급 구성하고 대책 마련에 나섰다. 사안의 심각성을 감안해 김인병 이사장이 직접 위원장을 맡았다.

응급의학회는 21일 ‘응급의료 현안 개선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응급의학회는 특위를 통해 급성 심정지 환자 발생 시 전문심장소생술과 소생 후 전문처치를 할 수 있는 병원을 전국적으로 파악해 공개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응급의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불식하고 응급의료체계가 유지될 수 있는 기본 틀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시도별 응급의료 상황을 파악하고 다양한 심포지엄과 토론회를 개최해 국회, 정부와 응급의료체계 유지 대책도 논의할 계획이다.

응급의료 관련 한시 수가를 제도화하고 응급의학과 전공의·전임의 수련보조수당 지급 등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한 실질적인 대책도 정부에 요구할 예정이다.

김 이사장은 “현재 국민들이 느끼는 응급의료에 대한 불편과 불만, 불안에 깊이 공감한다”며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국민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 온 응급의료 분야가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대한응급의학회  '응급의료 현안 개선 특별위원회' 위원들(사진제공: 응급의학회).
대한응급의학회 '응급의료 현안 개선 특별위원회' 위원들(사진제공: 응급의학회).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