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병원 발열클리닉 운영…거점병원 경험 병원, 협력병원 지정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긴급치료병상 활용 대응 방침

구급차, 응급실, 응급환자 이송, 게티이미지
정부는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응급실 과부하가 심해질 경우 코로나 거점병원 지정 경험이 있는 병원들을 '협력병원'으로 지정해 재동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이미지 출처 : 게티이미지)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응급실 과부하가 심해질 경우 코로나 거점병원 지정 경험이 있는 병원들을 ‘협력병원’으로 지정해 재동원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보건복지부는 20일 최근 발생하는 응급실 뺑뺑이 대책 관련 보도설명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우선 복지부는 최근 의료계 집단행동 영향으로 일부 응급의료기관에서 일시적으로 진료 제한이 발생하고 있지만 이는 응급의료기관 총 408개소 중 1.2%인 5개소에서 발생한 일이며, 응급실 완전 마비가 아닌 일부 기능 축소라고 강조했다.

일시적으로 운영이 제한됐던 응급실 중 충북대병원과 속초의료원은 정상 운영 중이며, 순천향대 천안병원과 단국대병원은 9월 정상화 예정이라고 했다.

또 전국 29개 응급의료권역마다 최소 1개소 이상 권역 또는 지역응급의료센터가 진료 제한없이 운영되고 있어 권역 내 일부 의료기관에 진료 차질이 있더라도 타 병원에서 진료가 가능하다고 했다.

하지만 복지부는 의료계 집단행동이 장기화되 의료진의 피로도가 누적되면서 응급실 진료가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인정했다.

지난해 말 대비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의학과 전문의 수가 1,418명에서 1,502명으로 증가했지만 그와 동시에 전공의 약 500여명이 이탈하면서 이전과 동일한 형태 진료를 제공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최근 응급실 방문 환자의 약 44%는 경증‧비응급환자로 이 환자들을 동네 병‧의원으로 적절히 분산할 경우 중증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정부는 응급실 과부하를 해소하고 응급의료 전달체계 개편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최근 코로나19 환자 급증으로 응급실 내원 환자 수가 평시 수준을 상회하며 진료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환자 분산 대책도 추가 시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특히 이를 위해 공공병원 등에 야간‧주말 발열클리닉을 운영하고 코로나19 거점병원으로 지정‧운영된 경험이 있는 병원들을 협력병원으로 지정해 코로나 환자를 적극 입원치료할 계획이라고 했다.

상황이 더 악화되는 경우 국가지정입원치료 270병상과 긴급치료 436병상 보유 병원 및 중앙‧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등 감염병 관련 의료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해 대응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정부는 현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 소위 응급실 뺑뺑이 등 응급의료체계 문제점은 새로 발생한 것이 아니라 지난 30여년 간 의료개혁이 지체되면서 누적된 구조적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현 비상진료체계를 유지하고 진료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충실히 이행하는 한편, 필수의료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위한 의료개혁을 차질없이 완수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