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규 사직전공의, 지역 의대와 전공의 TO 차이 지적
“지역 수련병원 정원 적은데 나머지 어디서 수련 받나”
“의대 증원은 지역 의료인력 양성하는 해결책 아니다”
“지역에 일자리가 없는데 의대 정원을 2배 이상 늘린다고 그 지역에 남는 의사가 있겠는가.” 정부가 추진한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정책이 지역과 필수의료를 살릴 수 있다는 주장은 ‘허상’에 불과하다는 비판이다.
서울대병원을 사직한 윤동규 전공의는 9일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가 ‘일차의료와 지역의료 살리기’를 주제로 개최한 토론회에서 의대 증원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윤 전공의는 지역 의대가 정원은 늘었지만 그들이 졸업 후 전공의로 취업해 수련을 받아야 하는 자리는 제한돼 있다고 지적했다. 결국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면허를 취득하자마자 다른 지역으로 일자리를 찾아 떠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일례로 대구가톨릭의대는 2025학년도 정원이 40명에서 80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부속병원인 대구가톨릭대병원에 배정된 전공의 정원은 36명이다. 조선의대도 예로 들었다. 조선대병원에 배정된 전공의 정원은 43명으로 현재도 조선의대 정원 125명보다 적다. 조선의대는 2025학년도 정원이 150명으로 25명 증원됐다.
윤 전공의는 “대구가톨릭의대를 졸업한 80명 중 40명 이상은 다른 곳으로 가서 일해야 한다”며 “조선의대는 150명으로 늘었고 전남의대는 정원이 125명에서 200명으로 늘었다(2025학년도 정원은 163명). 광주 지역 수련병원에 배정된 전공의 정원은 125명 정도다. 나머지는 어디서 수련을 받아야 하느냐”고 했다.
윤 전공의는 전문의를 취득한 이후에도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기는 어렵다며 “지역 의료를 살리기 위해 의대 정원을 늘린다는 건 말도 안된다”고 비판했다.
윤 전공의는 “고향을 떠나서 터를 옮기는 가장 큰 이유는 직장이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이 지방 소멸 이유로 직장이 없다는 점을 꼽는다”며 “공공의료원을 더 설립하면 환자들이 그곳을 찾고 전공의뿐만 아니라 스탭으로 일할 자리도 많다는 전제에서는 (지역 의대 정원 증원이) 의미 있는 정책일 수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일자리가 없는데 어디 가서 일해야 하느냐”고 했다.
윤 전공의는 “의대 정원을 늘리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일할 수 있는 자리가 중요하다”며 “의대 정원 증원은 지역 의료인력을 양성하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일자리를 만들어 지방 소멸을 막을 수 있는 정부 정책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의협 “사직 전공의 구직 돕겠다” 연수강좌 추가 실시
- 성균관의대 교수들 "바뀐 게 없는데 오겠나" 가을턴 연장 반대
- 거리로 나오는 의대 교수들…“의료정상화 위해 행동하겠다”
- [기고] MZ 의대생 ‘이걸요? 제가요? 왜요?’ 대답 못하는 정부
- 사직 전공의 취업도 ‘복귀’로 보는 정부…“대책은 없고 말장난만”
- 하반기 전공의 9일부터 추가 모집…政, "적극 지원 바란다"
- 사직 전공의 군 입대 현실화? “이러다 수련 난민 생긴다” 우려도
- 병원 떠난 전공의 1만2380명, 과목별 사직 얼마나 되나
- 의사 사라지는 국립대병원…상반기에만 교수 223명 사직
- 사직전공의도 환자보호자도 “앞으론 양질의 의료 없을 것” 한숨
- ‘응급의료면책법’ 준비 “슬펐다”는 이주영 의원 “법까지 만들어야 하나”
- 구미시, 구미차·순천향대구미병원에 재난관리기금 3억원 지원
- 정부 1천명 채용도 못하는데…증원 국립의대 “교수 2363명 필요”
- 22대서 줄 잇는 ‘의대 신설법’ 발의…이번엔 경기 안성
- "공공의료기관 의사 3563명 부족…국가가 직접 양성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