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협 조사결과, 본과 4학년 대부분 개인정보 제공 거부
대전협 “학생 결정 지지…우리 요구 단호하고 분명하다”
정부가 전공의에 이어 의대생 복귀 대책도 내놓았지만 당사자들은 냉담하다. 특히 의학과(본과) 4학년생 대부분은 2025년도 의사국가시험에 응시하지 않을 계획이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10일 전국 40개 의대 본과 4학년 3,0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2,903명의 95.52%인 2,773명이 의사국시를 위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제출을 거부했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본과 4학년 학생들이 졸업예정자 명단 제출에 대한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아 인터넷 접수가 불가하다"며 "사실상 2025년도 의사국시 거부를 표명한 것"이라고 했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은 의사국시 준비를 위해 응시 대상자 확인용으로 의대를 통해 졸업 예정자 명단을 제출 받아 왔다. 이 과정에서 응시 예정자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가 필요하다. 각 의대는 졸업 에정자 명단을 지난 6월 20일까지 국시원에 제출해야 했다. 개인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면 의사국시 접수가 불가능하다.
의대협 손정호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현 의료사태에 대한 학생들의 강경한 의지를 나타낸다"며 "원하는 바는 이미 의대협 대정부 요구안을 통해 전달했다. 앞으로 일어날 사태는 모두 정부의 결정에 따른 것이다. 문제 해결을 원한다면 정부는 조속히 결단을 내리기 바란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이날 본과 4학년을 위한 의사국시 추가 시행 등이 담긴 ‘의대 학사 탄력운영 가이드라인’을 발표했지만 의대생들은 돌아갈 생각이 없어 보인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은 의대생들을 지지했다. 박 위원장은 본과 4학년 96%가 의사국시를 거부한다는 보도를 개인 SNS에 공유한 뒤 “우리의 요구는 단호하고 분명하다. 학생들의 결정을 존중하고 지지한다”며 “저는 안 돌아간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정부 복귀책에도 의대생들 '요지부동'…"교육 질만 떨어질 것"
- 전공의 사직서 두고 머리 맞댄 수련병원들 “뾰족한 수 없다” 한숨
- 교육부, 이번엔 의평원 '증원 의대 평가'만 사전심의 요구…왜?
- "의평원 평가 개입" 의대 교수들, 교육부 장차관 공수처 고발
- 개원의를 바로 의대 교수로? “부실교육 피해자는 환자”
- 政, 의대생 휴학‧유급 방지 총력…추가 국시 등 방안 동원
- 의대 36곳 교수들 “의평원 공정·독립·자율성 침해 좌시 않겠다”
- 답답한 의대생 학부모 "정부, 대책 없이 돌아오라고만"
- 김윤 의원 "의대생 유급이 더 나쁜 결과…교육부, 불가피한 선택"
- “의학교육 형해화하는 교육부…이러니 의대생들 돌아오겠나”
-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 의대생·전공의들과 소통 행보 주목
- 의학 교육 무시한 교육부 '유급 피하기' 대책에 분노하는 현장
- 政 ‘집단 유급’ 방지 대책에 의대 교수들 “편법적 조치” 반발
- "의대생·전공의 복귀 대책?…'사후약방문' 아무 효과 없다"
- [단독] 교육부, 증원 국립의대에 ‘학사 운영 현장지원단’ 파견…왜?
- “의대생들 돌아온다면 ‘의사국시’ 세 번이라도 치러야”
- 의정 갈등 속 의사 국시 접수 시작…교육 현장 '혼란 가중'
- 의대생 95% 의사국시 거부…실기 응시자 159명뿐
- 대전협 박단 "의협 개혁해야" 의대생 선거권 부여 등 요구[전문]
- 의대협 "의대생 96% 국시 미응시…학사 파행 방기한 정부 책임"
- 의정 갈등에 의사 국시 응시자 ‘뚝’…국시원 경영도 ‘빨간불’
- 합격률 76.7%로 떨어진 의사국시 실기…266명만 합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