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의체 구성 후 전공의 복귀 제안에 "합의 안 해"
"복지부 장관 만난 적도 TV토론 제안하지도 않았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이 전공의 복귀는 정부나 교수협의회와 합의한 사항이 아니라면서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을 전면 백지화하라고 다시 한번 요구했다.
박 위원장은 12일 서울의대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 직후 본인 SNS에 "대정부 토론회 제안한 적 없다. 보건복지부 조규홍 장관 만난 적 없다. 서울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와 합의한 사안 없다"고 밝혔다.
서울의대교수협 비대위는 정부와 의협이 협의체 구성에 동의하면 의대생과 전공의도 전원 복귀하는 방안을 제안했는데 사전에 의협·대전협 동의를 받았다고 알려져 이를 반박하고자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인다. 박 위원장은 "서울의대 전공의협의회 역시 교수협 비대위와 현안에 대해 합의한 바가 전혀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오전 박 위원장 등 전공의와 의대생·수험생이 복지부와 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서 TV 토론까지 제안했다고 알려지기도 했다. 조 장관이 전날(11일) 일부 전공의와 비공개 면담을 진행한 것을 두고 대전협과 협의한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복지부는 면담 개최 사실 외에 참석자는 밝히지 않았다.
박 위원장은 두 사안 모두 부정했다. 지난달 20일 의대 정원 증원과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전면 백지화를 요구한 대전협 성명 내용도 상기시켰다(관련 기사: 대전협 비대위 "의대 증원 백지화하고 업무개시명령 철회하라").
이날 성명에서 대전협 비대위는 정부에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2,000명 의대 증원 계획을 전면 백지화하고 업무개시명령을 전면 폐지하라"고 요구했다. 정부가 내린 "전공의에 대한 부당한 명령 철회와 사과"도 함께 요구했다.
관련기사
- 국립대의대 교수들, ‘정부-의료계’ 대화 협의체 구성 촉구
- 출구 안보이는 의대 증원 논란…해법 찾는 의대교수들
- 서울의대 비대위 “해외기관에 ‘의사 증원’ 연구 의뢰하자”
- 政 "의대교수 사직하면 ‘진료유지명령’ 가능"
- 경찰청 출석 김택우·박명하 "政 이제라도 대타협하라"
- ‘전공의‧의대생‧수험생’도 의대 정원 증원 집행정지 신청
- "폭압적 공권력 행사 규탄…제자들 피해 시 행동할 것"
- "복귀해도 안 해도 어차피 면허 취소"라는 사직 전공의들
- 박민수 차관 면담자는 '한 자릿수'…"한 명이라도 복귀하길"
- 박단 비대위원장 "정부가 요구안 수용하면 병원 복귀"
- 政 “전공의 요구 많은 부분 수용 가능…단, 연 2천명 증원 빼고”
- 대전협 비대위 "의대 증원 백지화하고 업무개시명령 철회하라"
- 의협도 서울의대 비대위 제안에 "일방적 희망" 선 그어
- 政, 서울의대 비대위 의대 증원 ‘1년 연기’ 제안 거절
- 의대 증원 이번 주 '고비'…한 자리 모인 서울의대 구성원
- 의대 19곳 교수 비대위 결성…15일까지 ‘사직’ 여부 결정
- 목소리 높이는 교수에 "감사하다"는 의대생…협상안에는 "글쎄"
- "年2천명 증원? ‘속도 조절’ 필요…돌아오는 길 생각해야”
- "소청과의사는 환자를 떠난 적이 없다"
- 대전협, 국제노동기구에 긴급 개입 요청
- 政, 복귀 전공의 보호한다지만…전공의들 "대국민 선전용 불과"
- 동료 전공의 ‘협박‧왕따’ 때문에 못온다? 신고전화 없었다
- 세계 젊은 의사들 앞에서 한국 의료정책 비판한 대전협
- "긍지 품고 환자 곁에 있게 해 달라"…'공공의 적' 된 전공의 눈물
- "청문회도 불참한 전공의 어떻게 만나나"…된서리 맞은 장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