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단체 잇따라 정부에 협의체 구성 제안
의협 "2천명 철회 전에 대화 안 한다" 고수
'정부와의 대화'를 두고 의료계가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중재자를 자처하며 적극적으로 협의를 요구하는 교수들과 달리 대한의사협회는 의과대학 정원 2,000명 증원 결정 자체를 철회하기 전에는 어떤 대화도 없다는 입장이다.
정부 증원 발표 후 가장 먼저 출범한 교수 비상대책 조직인 서울의대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시작부터 협의를 강조했다. 정진행 비대위원장은 지난 17일 수락 연설에서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사회적 협의 진행에 주체적으로 나서겠다"고 했다.
이어 지난 23일 오전 입장문에서 정부에 협상을 요구하며 의료계와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나섰다. 이날 저녁에는 정 비대위원장과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 회동이 이뤄졌다. 정 비대위원장은 이날 "상호 상황을 공유하고 갈등 상황을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는 이해와 공감대를 넓혔다"고 밝혔다.
24일에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의료인력 추계를 다룰 협의체 구성을 정부에 제안하면서 "적극적으로 중재자 역할을 하겠다"고 했다. 같은 날 연세의대교수평의회도 성명을 내고 정부에 의료인력 문제를 다루는 새로운 협의체 구성을 권했다(관련 기사: 제자 향한 거센 압박에 보호나선 교수들…"중재하겠다").
정부와 의료계 협의 요구는 의대 밖에서도 나왔다. 거점국립대학교수연합회(거국련)가 25일 입장문을 내고 정부와 의료계에 조건 없는 협의를 촉구했다. 정부에 "2,000명 증원 계획을 완화"하고 "현장을 떠난 전공의에게 책임을 묻지 말 것"을 주문했다. 협의체는 의료계는 물론 교육계와 산업계도 참여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서울의대 정 비대위원장 역시 SNS로 정부에 정기적인 협의 모임을 제안했다. 의사 인력 추계부터 양성, 배분까지 함께 논의하자는 것이다. 전공의 사직자에 대한 압박도 중단하라고 했다.
성균관의대교수협의회도 정부와 의협 양측에 "대승적으로 양보"하고 "협상을 시작하라"고 했다.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먼저 결정하고 그 이후는 "여러 직군이 참여하는 새로운 협의체"에서 논의하자고 했다.
2천명 철회 전 "대화도 협의도 없다" 고수하는 의협
현시점에서 정부와 의료계 협의는 미지수다. 정부는 2,000명 증원만큼은 철회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반대로 의협은 2,000명 증원 원점 재검토 결정 전에는 "대화도 협의도 없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의협 비상대책위원회는 25일 전국 의사 대표자 확대회의에서 '선 철회 후 대화' 원칙을 다시 확인했다.
교수 단체의 협의 요구나 중재 제안에도 부정적이었다. 이에 대해 비대위 주수호 언론홍보위원장은 확대회의 후 브리핑에서 "그런 것은 없다"고 했다. 이날 서울의대 정 비대위원장이 정부에 정기 협의체를 제안한 것도 "서울의대 교수 전체 입장인지 위원장 개인 입장인지 확인부터 돼야 (의협 비대위 입장을 낼 수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만 "교수들도 전체 의사의 생각과 같다. 전공의와 학생이 다치지 않도록 본인이 할 수 있는 일을 다 하겠다는 것이다. 의협 비대위와 생각이 다르지 않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성균관의대 교수들, 증원 찬성하지만 적정 인원은 '350~500명'
- “전공의도 한 사람의 국민…설득이 정부의 역할” 지적
- 제자 향한 거센 압박에 보호나선 교수들…“중재하겠다”
- "의대 2000명 증원 철회 전에는 대화도 협의도 없다"
- 교수-정부, 의대 증원 협의 성사되나
- "전공의·의대생 후배들 지키자"…전국 의사 대표자 운집
- 국립대 교수들 '조건 없는' 협의 촉구…"전공의 책임 묻지 말길"
- "뛰쳐나간 건 전공의들" VS "본때 보여주겠다는 정부 문제"
- 박단 비대위원장 "정부가 요구안 수용하면 병원 복귀"
- 政 “전공의 요구 많은 부분 수용 가능…단, 연 2천명 증원 빼고”
- "정부와 협상 없다"…醫 의대 증원 정국 정면 돌파 선언
- 政 “전공의, 29일까지 돌아오면 책임 묻지 않겠다…마지막 호소”
- 아동병원 소청과 전문의 이탈…주말·야간 진료 공백 차질
- 의대 정원 확대 둘러싼 與·野 정쟁 가열…‘정치쇼’ vs ‘음모론’
- "정부·대학, 증원 당사자인 의대생 의견부터 청취하라"
- 서울의대교수협 김종일 회장·정진행 위원장 동반 사퇴 선언
- 전공의 집단사직 시작 일주일째…대학병원 매출 ‘반토막’
- 政 "진료유지명령, 직업선택 침해 아냐"…법조계 "문제 많아"
- 서울의대교수협 “의대 증원 협의 4월 총선 이후로 연기하자”
- 돌연 사퇴 정진행 전 서울의대교수協 비대위원장 “휴전하자”
- 잇따른 중재·협의 무산에 짙어진 교수들 한숨…"제자 볼 낯 없다"
- 사직 전공의들에게 대화 제안한 박민수 차관 "누구나 가능"
- 전공의 복귀 '디데이' 앞둔 병원들…원장이 "돌아오라" 호소도
- "제자들 지키기 위해" 행동 예고한 울산의대 교수들
- 서울의대교수協, 방재승 교수 2기 비대위원장 선출
- 국립대 교수들 "의대 정원 재조정하고 의대생 휴학 승인을"
- 政 “의료계 논의 참여해야 의료인력 수급체계 도입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