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요구에 “위험천만한 발상, 허황된 주장” 일축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병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의대 폐지를 통한 의료일원화를 하자고 했다.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병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의대 폐지를 통한 의료일원화를 하자고 했다.

공공의료사관학교를 통해 한의사에게 의사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는 대한한의사협회 요구에 대한의사협회는 이번 기회에 “한의대 폐지를 통한 의료일원화”를 이루자고 했다.

의협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의협이 요구한 공공의료사관학교 한의사 별도 교육 과정 개설에 대해 “국민 생명을 담보로 한 위험천만한 발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허황된 주장”이라고도 했다. 한의협은 지난 2일 보도자료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한 공공의료사관학교 신설 시 한의사 대상 별도 1~2년 교육 과정을 마련해 의사국가시험 응시 자격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협은 “의사와 한의사는 출발선부터 다르다”며 “해부학·생리학·약리학·외과학 등 방대한 지식을 1~2년 교육으로 습득해 의사와 동일한 역량을 발휘한다는 주장은 환자 안전을 무시한 허황된 논리”라고 비판했다. 한의협이 국민 생명을 담보로 “무책임한 망상”을 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수박겉핥기식”으로 의학을 공부할 게 아니라 한의학을 “체계화·과학화·객관화·표준화 하는데 노력하는 게 진정 한방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한의협 요구는 “국시제도를 농락하는 제안”이라며 “의사국시는 단순한 시험이 아니라 6년 의대 교육과 인턴·레지던트 임상수련을 모두 거친 뒤 마지막으로 통과해야 하는 관문”이라고 일축했다. “단기 교육을 받은 한의사에게 의사국시 응시 자격을 줘야 한다는 주장은 국시 제도의 본질을 무너뜨리고 면허 체계 전체를 붕괴시킬 위험천만한 발상”이라고도 했다.

의협은 필수의료 분야 의료 인력난 원인이 “낮은 보상, 과중한 업무, 높은 법적·사회적 리스크 때문”이라며 “이를 개선하지 않고 한의사를 끌어들이는 방식은 문제의 본질을 가리는 눈속임이며 의료 질 저하와 환자 불심만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의협은 한의협 주장이 “직역 확대를 위한 포퓰리즘에 불과하다”며 “국민 앞에 부끄러움을 모르는 뻔뻔한 태도”라고 했다.

이어 “한의사의 무분별한 욕심과 영역 침탈, 그리고 위기 상황을 악용한 정치적 공세는 결코 용납되지 않을 것”이라며 ▲의학교육제도 일원화 ▲기면허자 면허범위 준수 ▲한의대 폐지를 통한 의료일원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