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교수협 “일부 상종, 전공의 제한적 수용 고려”
“의대생 실습교육과 전공의 수련, 가장 중요한 책무”

의대 교수들이 상급종합병원이 전공의 수련교육 부담을 줄이려 한다고 우려했다(ⓒ청년의사).
의대 교수들이 상급종합병원이 전공의 수련교육 부담을 줄이려 한다고 우려했다(ⓒ청년의사).

전공의 없는 체제에 익숙해진 상급종합병원이 수련교육 부담을 줄이려 한다는 우려가 의대 교수들 사이에서 나왔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는 7일 성명서를 내고 “전공의 수련 재개 논의 과정 중 일부 상급종합병원에서 제한적 수용을 고려한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전공의 수련 부담을 줄이겠다는 시도는 의대 부속병원의 가장 중요한 존재 이유를 포기하는 매우 심각한 실책”이라고 비판했다.

의대교수협은 상급종합병원이 중증질환 진료와 연구, 교육 모두 수행하도록 정부 지원을 받는 병원이라며 “지속가능한 미래 의료 시스템 발전을 위해 의대생 실습교육과 전공의 수련은 절대 포기할 수 없는 가장 중요한 책무”라고 강조했다. 전문의 중심으로 운영하는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사업도 “전공의 수련을 통해 전문의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지 않으면 지속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했다.

의대교수협은 “전공의를 값싼 노동력으로 간주하던 과거는 이제 사라져야 한다”며 “전공의는 미래의 K-의료를 책임질 핵심 의료 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는 ‘수련생’이라는 사실을 확실하게 인식하는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모든 수련병원들을 향해 “수련 재개를 결심한 전공의가 원래 근무했던 병원에서 남은 수련을 이어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했다.

보건복지부에도 전공의 수련 정상화를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전폭적으로 해달라고 했다. 또한 수련협의체에서 수련 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 관련 제도 논의를 이어가 달라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