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대학 등록 마감 앞두고 의대생 속속 복귀
의총협 "의협이 의대생 복귀 강력 요청해야"
'개인 선택' 고수 의협…내부 갈등 우려 커져

의대생 복귀 움직임이 이어지는 가운데 의료계 내부 갈등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의대생 복귀 움직임이 이어지는 가운데 의료계 내부 갈등 우려가 커지고 있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연세의대와 서울의대를 시작으로 학기 등록을 선택하는 의대생이 늘어나고 있다. 동시에 복귀를 둘러싸고 의료계 내부 갈등 우려도 커지고 있다.

대학가에 따르면 지난 28일 울산의대와 고려의대 학기 등록 대상자 절대다수가 복학 의사를 밝혔다. 가장 먼저 등록 후 휴학 결정을 내린 연세의대와 서울의대도 의대생 대다수가 학기 등록 절차를 밟는다. 울산의대 관계자는 "시한이 지나도록 등록하지 않고 남았던 의대생까지 어제(27일) 미등록 상태 휴학을 철회하기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안다"며 "(이번 학기에 복학해야 하는) 대상자는 거의 전원 돌아오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의대생들이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대학들도 등록 기한을 연장하며 독려하고 있다. 고려의대와 원광의대는 31일까지 복학 신청을 받기로 했다. 성균관의대도 등록 마감 시한을 연장했다. 강원의대와 경희의대도 이날 자정까지 학기 등록을 기다리기로 했다. 경희의대 관계자는 "(복학 의사를 밝힌 의대생) 정확한 규모는 파악할 수 없다. 다만 전날(27일)까지는 미복귀 유지 여론이었지만 마감일이 닥치면서 기류에 변화가 생기지 않았나 기대한다"며 "학장과 교수, 학부모들도 '제적만은 피하자'며 적극적으로 설득하고 있다"고 했다.

반면 등록을 마감하고 제적 절차를 시작한 대학들도 있다. 앞서 한 차례 기한을 연장했던 전남의대 관계자는 "(제적) 절차대로 갈 것 같다. 아직 학교 차원에서 내놓은 방침 변화는 없다"고 했다. 부산의대 관계자는 "복학 신청 절차는 마무리했다. 제적 절차는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면서 "(이후 복귀를 원하는 의대생) 구제책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는 않았다"고 했다. 두 대학은 복귀자 규모에 대해서도 말을 아꼈다.

"의대생 개인 선택" 고수한 의협…내부 갈등 우려 고조

의대가 속한 전국 40개 대학도 막판 설득에 들어갔다. '의대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오전 발표한 합의문에서 "의대생 복귀로 수업이 정상화되면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3,058명으로 조정한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니 "의대생은 대학을 믿고 조속히 복귀해 달라"고 했다.

대한의사협회에도 "의대생은 대학으로 돌아가라고 강력한 메시지를 내 달라"고 촉구헀다.

의협은 협회 차원에서 의대생에게 복귀를 지시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의협 김성근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례 브리핑에서 복귀는 의대생 개인 선택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어떤 결정이든 그 선택은 존중받아야 한다"면서 내부 갈등을 경계했다.

김택우 회장도 지난 27일 "전체 의대생이 입장 차로 많은 고통을 겪고 있을 것"이라면서 "잘못된 것도, 비난받아야 할 것도 정부다. 전공의와 의대생이 아니다. 우리 안에서 서로를 비판하기보다는 힘을 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의협 부회장인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은 본인 SNS로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나. 등록 후 수업 거부하면 제적에서 자유로운 건 맞느냐"면서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라고 적었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의료계 관계자는 "의협 내부에서도 메시지가 통일되지 않는데 분열을 어떻게 다스릴지 우려된다. '의협은 뭐 하고 있느냐'는 목소리에 대응해 지금이라도 내부 수습에 나서야 한다"면서 "의협 뜻이 어떠하든 이대로면 사태를 관망하면서 (의대생 제적) 책임을 피하려 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의료계 관계자는 "의대생 복귀 문제는 개인 선택으로 돌리고 교육 문제는 정부가 풀어야 한다면 '그럼 의협은 무엇을 할 건가'라는 물음이 남는다. 의협이 이에 대해 확실한 답변을 주지 못하고 있다. '기다리라'가 능사가 아니다"라면서 "회원 여론에 떠밀려 움직이는 모양새라도 취해야 한다. 법적 대응을 거론하지만 실제 제적자가 나오고 피해를 봐야 움직이겠다는 소리와 무엇이 다르냐"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