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말까지 (가칭)전담간호사 교육 지원
“안심하고 일하도록 업무 범위 명확해야”
대한간호협회가 진료지원(PA) 간호사를 양성한다. (가칭)전담간호사로도 불리는 진료지원 간호사는 정부가 추진하는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정책의 핵심 인력 중 하나로 꼽힌다.
간협은 오는 9일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 지원 사업’ 설명회를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전담간호사 지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고 8일 밝혔다. 간협은 지난 7월 보건복지부 ‘진료지원 간호사 교육 지원 사업’ 수행 기관으로 선정됐다.
이번 교육 대상은 총 800명으로 전담간호사 500명과 교육담당자 300명이다. 이들은 공통이론과 외과, 내과, 수술, 응급·중증 분야 이론, 술기 이론·실습, 현장 연구 등을 총 80시간에 걸쳐 교육 받는다.
간협은 지난 4월부터 6월까지 전담간호사와 이들을 교육하는 담당 강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기도 했다.
간협은 “복지부도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을 통해 그동안 불법 범주에 있던 진료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간호사들에 대한 최소한의 보호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나섰지만 의료 현장 상황이나 환자 안전을 담보하기에는 지금까지도 매우 미흡한 실정”이라고 했다.
간협 관계자는 “실제 의료 현장에서 일하는 전담간호사는 1만3,000여명으로 교육이 일회성 사업으로 끝나서는 안된다”며 “전담간호사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을 위해 간호사 업무 범위에 대한 명확한 법적 규정과 체계적인 교육체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soo331@docdocdoc.co.kr
관련기사
- 의대 교수들 “상종 전문의·PA 중심 전환? 현장 모르니 오판”
- 한덕수 총리 “의대 증원 백지화 빼고 다 수용, 돌아오라”
- ‘전문의→전문인력 중심’ 바뀐 상종 구조 전환…“실효성 없는 헛소리”
- 중환 비율 60%까지 상향…政 '상급종병 구조전환' 청사진 제시
- "간호사법, 실력 있는 전담간호사 아닌 '단순 일꾼' 양산 우려"
- "전공의 언제 오나 기도만 할 수 없어"…간호사 역할 커지나
- '전문의 중심 병원' 시험대 오른 서울대병원의 고민
- "간호법 내 간호사 진료지원 업무 규정, 대혼란 초래"
- "간호법, PA 활성화 목적…불법 무면허 의료행위 조장"
- “디테일 없는 상종 구조 전환, 무조건 GO? 또 다른 왜곡 우려”
- 간호계 ‘전담간호사’ 무용론에 政 “진료 지원 관리 위해 필요”
- '간호사 업무 시범사업' 경험한 간호사들 "여전히 불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