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은 감소
동아에스티(동아ST)가 올해 2분기 매출액 1,577억원을 달성했지만 영업이익을 줄었다.
동아에스티는 25일 공시를 통해 올해 2분기 매출액 1,577억원, 영업이익은 71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2.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8.9% 감소했다. ETC(전문의약품)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3% 증가한 1,08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인성장호르몬제 ‘그로트로핀’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5.4% 증가한 282억원을 기록하며 ETC 매출 상승세를 이끌었다. 이 밖에도 기능성 소화불량치료제 ‘모티리톤’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6.3% 증가한 90억원을 기록했으며, 손발톱무좀치료제 ‘주블리아’, 고혈압치료제 ‘이달비’ 매출도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상승했다.
다만 의대 증원 사태로 영업환경이 악화되면서 처방의약품 일부 품목 매출은 감소했다. ▲항히스타민제 '투리온' 21억(-16.5%) ▲위염치료제 '스티렌' 42억원(-14.8%) ▲소화성궤양치료제 '가스터' 47억원(-12.9%) ▲당뇨병치료제 '슈가논' 62억원(-10.2%)의 매출을 기록했다.
해외 사업 부문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한 37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캄보디아로 수출하는 ‘캔박카스’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7.8%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2분기 영업이익은 R&D 비용 및 판관비가 증가하며 전년 동기 대비 18.9% 감소했다. 동아에스티는 2분기 R&D 비용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3% 늘어난 264억원을 사용했다.
동아에스티는 미국 자회사 뉴로보 파마슈티컬스를 통해 MASH(대사이상 지방간염) 및 2형 당뇨 치료제 ‘DA-1241’ 글로벌 2상 임상시험 파트1, 파트2와 비만 치료제 ‘DA-1726’ 글로벌 1상 파트1, 파트2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5월 과민성 방광 치료제 ‘DA-8010’의 3상을 종료했으며, 면역항암제 ‘DA-4505’와 치매치료제 ‘DA-7503’은 1상을 진행 중이다. ㅣ
이외에도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DMB-3115’는 지난해 6월 유럽 의약품청(EMA), 10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품목허가 신청을 완료한 바 있다.
관련기사
- 동아ST, 무좀치료제 ‘주블리아 4mL’ 가격 15% 인하
- 문 열린 'MASH 치료제 시장', 한국산 신약 개발은?
- 동아ST, 건선성 관절염 치료제 ‘오테리아정’ 출시
- 동아ST 美자회사, 비만치료제 글로벌 1상 승인
- 동아ST, AAIC서 ‘DA-7503’ 비임상 결과 발표
- 동아ST-셀트리온제약, ‘이달비정 20mg’도 공동판매
- 동아참메드, 의료용 진료대 2종 의료기기 인증 획득
- 동아ST, 펜타입 성장호르몬제 발매 기념 심포지엄 개최
- 뉴로보, 비만치료제 글로벌 1상 파트1 환자 모집 완료
- ‘스티렌’, 류마티스환자 위장관 출혈 보호 효과도 보여
- 동아ST ‘모티리톤’, 기능성소화불량증 亞가이드라인 등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