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6개 병원 시작으로 연속근무 ‘24~30시간’으로 단축

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사업에 42개 기관이 최종 참여기관으로 선정됐다.

보건복지부는 31일 42개 수련병원이 ‘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사업’ 참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올해 2월 전공의의 수련환경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이 개정돼 기존에 ▲총 수련시간은 주 최대 80시간 ▲연속근무시간은 최대 36시간으로 규정된 수련시간을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시범사업은 그에 따라 적정한 연속수련시간 범위를 도출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범사업 참여 대상은 전국 218개 수련병원 중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신경외과‧심장혈관흉부외과 중 2개 과목 이상을 수련 중인 96개 병원이다. 5월 2일부터 17일까지 공모를 실시한 결과 44개 병원이 신청했다.

이에 복지부는 전공의 수련 및 수련병원 관련 전문가 등으로 선정심사위원회를 구성해 심사를 진행해 총 42개 병원을 선정했다.

공모에 신청했으나 선정에 탈락한 2개 기관 중 한 곳은 필수 참여과목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고 또 다른 한 곳은 사업 신청을 철회했다.

선정 기관 중 수도권은 상급종합병원 14개소, 종합병원 17개소 등 31개 병원, 비수도권은 상급종합병원 4개소, 종합병원 7개소 등 11개 병원이다.

각 병원에서는 전문의를 추가 투입하거나 전공의의 근무 형태와 스케줄을 조정해 전공의 연속근무시간을 현행 최대 36시간에서 24~30시간 범위 내로 단축한다.

시범사업은 당장 연속근무 단축이 가능한 강원대병원, 고대 구로병원, 고대 안안병원, 대구파티마병원, 인제대 해운대백병원, 인하대병원 등 6개 병원은 31일부터 우선 실시하고 나머지 병원에서도 전공의의 수련병원 복귀 상황에 따라 순차적으로 추가 실시할 예정이다.

복지부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은 “정부는 전공의 수련환경을 혁신하기 위해 수련시간을 현실화하고, 전문의 중심병원으로 병원 인력구조를 개선하며, 전공의 수련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등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