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 두번째 보완지침 배포
보건복지부가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을 실시하더라도 심전도와 초음파 등 행위는 법에 명시된 의료기사 인력을 우선 배치해야 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복지부는 최근 의료기관에 배표한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 두번째 보완지침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현재 복지부는 지난해 2월 발생한 전공의 집단사직 등 의사 집단행동에 대응하기 위해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며, 지난 8일 ‘간호사의 진료지원 업무범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복지부는 이를 통해 PA 간호사에게 위임 가능한 업무 90여개를 제시했는데, 이 중 심전도와 초음파 행위 등도 포함됐다.
하지만 정부의 가이드라인 발표 후 의료기사들 사이에서 ‘집단사직은 의사들이 했는데 왜 의료기사들 업무를 간호사에게 위임하나’라는 지적이 나왔다.
이번 두번째 보완지침은 이같은 지적을 반영한 것으로 ‘심전도, 초음파 등 행위는 법에 명시된 의료기사 인력의 우선 배치를 원칙으로 하고 불가한 경우 의료기관장 결정 하에 시범사업 지침을 적용하도록’ 했다.
의료기사 인력을 우선 배치해야 하는 행위로는 ▲심전도 ▲초음파 ▲고주파 온열치료 ▲체외 충결파 쇄석술 ▲근골격계 체외 충격파시술 ▲혈액 섬체채취 ▲혈액 배양검사 등을 꼽았다.
한편 이번 보완지침에는 일반 간호사를 가칭 전담간호사로 전환할 경우 3년 이상의 임상 경력 보유자로 한정할 것도 권고했다.
또한 수술 중 견인, 수술 전 환자 확인을 위한 수술부위 표시는 전문간호사와 전담간호사에게만 위임 가능하며 일반간호사는 할 수 없도록 했다.
관련기사
- 47개 상급종합병원에서 PA간호사 ‘4000여명’ 운용
- 의사 집단행동에 간호계 힘 빌리는 政, ‘간호법’으로 빚 갚기?
- "불법 무면허 진료 조장" 醫, PA 시범사업 철회 요구
- 간협 "간호사 업무 시범사업으로 저질 의료 양산? 가짜뉴스"
- '간호사 업무 관련 시범사업'에 현장은 혼란…"보여주기식" 지적도
- 政 “PA 시범사업 중 사고 발생, 간호사에게 법적 책임 안 물어"
- PA 간호사에 '진단서 초안 작성‧'초음파 검사' 등 허용
- "일반 간호사도 의사 업무 내몰리고, 직원들은 임금체불 불안"
- 간호사 업무 시범사업 후 법적 보호는? "PA→전문간호사 유입 필요"
- 政, 의료사고처리특례법 적용 대상에 ‘간호사’ 포함 검토
- 의료연대본부 "의정 갈등 속에 간호사 등만 터져"
- 의료기사 되려면 ‘현장실습’ 이수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