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대의원회, 위원 전면 교체 권고
새로운 의정협의체 구성 요구도
정부는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의료계는 의정협의 구조를 두고 논쟁 중이다. 의대 정원 관련 논의를 의료계가 주도하려면 틀을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는 최근 운영위원회를 열고 집행부에 의료현안협의체 위원을 전면 개편해 의대 정원을 비롯한 현안 해결을 위해 정부와 적극 협의하라고 권고했다. 보건복지부가 의료현안협의체에서 의대 정원 문제를 논의하려 하지 않으면 “9.4 의정합의에 따른 새로운 의정협의체 구성을 요구하라”고 했다.
의협 대의원회 운영위는 “복지부가 의대 정원 증원 수요조사를 별도로 추진하면서 의대 정원 증원 규모에 대한 의료현안협의체 논의를 거부했다”며 “의협과의 양자 협의를 생략한 채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에서 의대 정원 규모를 논의해 결정하겠다는 뜻이 명확해진 상황에서 의료현안협의체 추가 협의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의료현안협의체 참여 위원을 바꿔 협의를 진행하되 그래도 의대 정원 문제에 대한 논의가 협의체에서 진행되지 않을 경우 새로운 의정협의체 구성을 요구하라고 했다.
의협 대의원회 운영위는 지난 3일 이같은 권고를 집행부에 전달했다. 하지만 의협 집행부는 난감한 표정이다. 민감한 문제를 다루는 의료현안협의체에 참여할 인물을 찾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논의 결과에 따라 의료계 내부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도 하다.
의협 김이연 홍보이사 겸 대변인은 6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대의원회에도 위원을 추천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아직 답은 받지 못했다”며 “기존 위원들이 지친 면이 있긴 하지만 현 상황에서 위원을 전면 교체하는 게 협상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인지는 고민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협의 테이블에서 한 목소리를 내는 것도 중요하다”며 “다른 목소리가 나와 대외적으로 혼란을 주거나 의대 정원 문제 논의 과정에서 의료계를 패싱하는 빌미를 주지 않아야 한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 ‘경증환자 쏠림‧의료전달체계’ 해결책 먼저 찾는다
- 조규홍 장관 “의대 증원, 의사단체 등 다각적 의견 수렴”
- 의협, 정부와 의대 정원 확대 논의 시작…“필수의료 지원 전제”
- 정부, 기존 의대 정원부터 늘린다…수요 조사 시작
- 의협 협상단장직 내려놓은 이광래 회장 “분열 끝내길”
- 대학이 원하는 의대 정원 합산하면 끝? “과학·객관적이어야”
- 의협 ‘의료현안협의체’ 위원 교체로 회의 취소에 국회 질타
- [꽉찬생각] ‘줄거 주고 받을거 받는’ 2기 의료현안협의체 돼야
- “의협 이필수 회장이 직접 의료현안협의체 협상단장 맡아라”
- “문제는 필수의료 전문의 이탈…의대증원 효과 無”
- "강도 높은 투쟁"vs"직역 이기주의"…불꽃 튄 의료현안협의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