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 신약 후보물질 9건 도입
英기업 ‘4D파마’와 후보물질 및 플랫폼 기술 도입 계약
CJ바이오사이언스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 후보물질을 대거 도입해 이목이 모인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CJ제일제당의 레드바이오(제약‧헬스케어) 독립법인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대표 천종식)는 영국 및 아일랜드 소재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4D파마(4D Pharma)’와 신약후보 및 플랫폼 기술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신규 도입되는 신약 후보물질은 총 9건으로, 목표 적응증은 고형암, 소화기질환, 뇌질환, 면역질환 등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오는 2025년까지 파이프라인 10건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CJ바이오사이언스는 4D파마의 진단과 신약후보 발굴 기술 플랫폼 2건을 포함한 특허 등 관련 지식재산권까지 모두 인수할 예정이다. 다만, 양 사 간 합의에 따라 계약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계약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J바이오사이언스가 보유하고 있는 바이오인포매틱스(생물정보학) 기술과 10여년 이상 축적된 4D파마의 신약개발 노하우가 시너지를 일으킬 것이란 설명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신약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 ‘이지엠 플랫폼(Ez-Mx Platform)’을 보유하고 있으며, 마이크로바이옴 데이터베이스와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질환과 연관된 신약후보 및 바이오마커를 발굴해 임상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CJ바이오사이언스는 각 파이프라인의 상세 데이터 분석 등을 거친 후 R&D 전략에 반영할 계획이다. 지난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1/2상 임상시험 승인을 받은 면역항암치료제 ‘CJRB-101’을 포함, 성공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중심으로 임상 우선순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CJ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신규 파이프라인 도입으로 글로벌 최고 수준의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신약 개발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며 “올해 진행을 앞두고 있는 기존 파이프라인의 미 FDA임상 외에도 후속 연구를 통해 신약후보를 계속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를 합친 용어로, 사람의 몸속에 존재하는 수십 조 개의 미생물과 그 유전자를 일컫는다. 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시장 규모는 2030년까지 10억 달러(1조 3,000억원) 규모로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관측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