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응급의학회 "긴급소생술 必…정부와 국민 힘 모아 달라"
사면초가에 몰린 소아응급실이 "긴급소생술"을 요청했다.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 갈등 장기화로 후속 세대 양성은 물론 당장 진료도 걱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대한소아응급의학회는 12일 입장문을 내고 "근거 없는 의대 정원 증원 계획을 즉각 철회하고 소아응급실 유지를 위한 정책·사법적 지원과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대로면 "소아응급의료체계는 완전히 붕괴한다"고 했다.
소아응급의학회는 "최근 의정 갈등으로 소아응급의료체계는 더 위태로워졌다"면서 "과도한 업무로 의료진 사직이 늘었고 후속 인력을 배출하지 못해 소아응급의료 전문가 양성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라고 토로했다.
의료진은 신체·정신적 한계에 직면했고 소아응급실은 365일 24시간 운영이 중단될 위기라고 했다. 일부 응급실이 문 닫거나 축소 운영 중인데 남은 응급실도 과부하라고 했다.
소아응급의학회는 "이제 더는 지켜만 보고 있을 수 없다. 의대 정원 증원이라는 근거 없는 정책은 이미 위기에 처한 소아청소년과와 응급의학과를 더 큰 혼란에 빠트렸다"며 정부 정책 철회를 요구했다.
그러면서 "지금이 바로 무너지는 소아응급의료체계를 지키기 위해 긴급 소생술이 필요한 때"라면서 "우리 아이들은 대한민국의 미래다. 이들이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국민과 정부가 힘을 모아 달라"고 했다.
고정민 기자
jmk02@docdocdoc.co.kr
관련기사
- 응급실 의사 42% 감소, 7곳 부분 폐쇄 위기…“더는 버티기 어렵다”
- 흔들리는 국립대어린이병원…"이대로면 정상 진료 어려워"
- '공든 탑'이 무너지고 있다…국회의원 '이주영'의 두려움
- 갈 곳 잃은 소아 응급환자들…아동병원協 “대책마련 서둘러 달라”
- 무너진 ‘소아의료체계’…상급종합→아동병원 ‘쏠림 심화’
- 지속가능한 의료 고민하는 소아응급실 의사의 국회 도전
- "소청과의사는 환자를 떠난 적이 없다"
- 은평성모병원이 '적자' 소아응급실 운영하는 이유
- 10년 지켜 온 소아응급실 떠나는 소청과 교수의 ‘일침’
- '안전 지대' 없다…충남發 소아응급 위기 수도권까지?
- 소청과 의사 감소 불똥 응급실로 튀었다?
- 경증환자 응급실 진료 시 ‘본인부담 90%’ 13일부터 적용
- 복지부,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 ‘14개소’ 지정
- 끝없는 ‘의료대란’ 고위험 신생아 맡을 인력도 급감
- 국립대병원 응급실 가동률 50%도 못 미쳐…“의료대란 심각”
- 응급실 정당한 진료 거부 사유 政지침에 환자단체 "혼란 가중"
- "119에 병원 선정권 부여? 잘못된 이송 책임지겠다면…"
- 응급실 8.5%만 24시간 소아진료 가능…배후진료 문제
- 중증응급소아 환자, 불필요한 전원을 예방하려면?
- 시장·군수·구청장도 야간·휴일 소아진료기관 지정 가능?
- "소아 진료 살아나리라 믿는다…포기 말고 함께 해주길"
- 아이가 갑자기 아픈가요? '아이아파' 찾아 주세요
- 1인당 年1억 지원에도 공모 無…‘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 난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