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의교협 “2026년 아닌 2025년 증원 유예 논의해야”
정치권을 중심으로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유예’가 대안으로 거론되는 상황에 의대 교수들은 “2025학년도 증원 유예를 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을 향해서는 '증원 숫자 2,000명'을 고집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전국의대교수협의회(전의교협)은 29일 논평을 통해 “필수의료와 지역의료를 담당하는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조건이 바로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이 ‘사전예고제’에 따라 지난 5월 31일에 이미 확정돼 발표됐다는 대통령실 입장에 대해서는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늘리면서 사전예고제를 어기는 예외를 적용했다”고 반박했다.
전의교협은 “대통령실에서 2,000명 증원 숫자를 대화 테이블에 절대 올릴 수 없다는 꽉 막힌 태도를 버리고 어떤 의제라도 의논할 수 있다는 열린 자세로 대화의 장을 마련한다면 의대 교수를 비롯해 전공의, 의대생 모두 기꺼이 대화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의교협은 “현재 정원의 1.2~4배로 증원된 의대에는 늘어난 학생을 교육시킬 준비가 전혀 돼 있지 않다”며 “의대에서 부실하게 교육한다는 것은 부실한 의사를 배출한다는 뜻이 된다”고도 지적했다.
송수연 기자
soo331@docdocdoc.co.kr
관련기사
- 윤석열 대통령도 언급한 ‘계약형 지역필수의사제’란?
- 尹 “저항 있어도 의료개혁 계속 추진…현장 보면 문제 없어”
- 의료계 “2026년 증원 유예? 대안 아니다”…예과생들, 수능 준비
- 이재명 “한동훈 의대 증원 유예 제안, 불가피한 대안" 공감
- 尹대통령 ‘아군’ 자처 경실련 “대통령 탓하며 의대 증원 흔들지 말라”
- 한동훈 대표 “2026년 증원 1년 유예보다 좋은 대안 있나”
- ‘의료 대란’ 경고음 “尹 정부 실패 ‘기폭제’”…여당 ‘정치쇼’ 비판도
- 임현택 회장 “대통령·국회, 의료대란 끝내야” 무기한 단식 돌입
- ’초지일관‘ 대통령 담화에 의대 교수들 “놀랍지도 않아”
- 의대 교수들 “응급의료 위기 만든 책임자 문책해야”
- 충청권 의대 입시설명회 수험생·학부모 "기대 크지만 교육 걱정"
- 국민 10명 중 7명 “대통령 의료공백 파악 못해…점진적 증원 적절”
- 올해 2학기 국립의대 수강신청률 ‘7%’
- 대통령실이 밝히는 2천명 증원 이유는…내일 서울의대 비대위와 토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