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과 관계 없는 환자들이 피해" 집단휴진 철회 요구
환자단체가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로 환자의 불안을 이용하지 말라”며 집단 휴진 철회를 요구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의협이 새로운 요구안을 제시하고 이를 조건으로 집단 휴진을 강행 또는 철회한다고 언급한 것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환자단체연합은 의협이 새롭게 제시한 대정부 요구사항에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의협은 지난 16일 ▲의대 정원 증원 재논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쟁점 사안 수정·보완 ▲전공의·의대생 관련 행정명령·처분 일괄 취소를 정부에 요구했다.
환자단체연합은 “의료정책의 수혜자이자 주체인 환자들은 의대 정원 증원을 원점에서 재논의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며 “원점 재논의 요구는 ‘증원 원천 반대’를 의미하는 것과 다름없다. 만약 아니라면 정부와 국민에 더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한 공론의 장을 열자고 제안해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협은 의료계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행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과중에 의료전문가로서의 사회적 책무는 실종되다시피 했다”고 지적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의 무기한 휴진 결정도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환자단체연합은 “서울의대 비대위가 발표한 입장문에는 환자들의 상황과 처지를 고려한 내용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그 의도와 진심을 십분 이해하더라도 특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기한 전체 휴진’이 필요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비대위는 응급·중증 환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비응급 환자 혹은 중증도가 낮은 환자는 불안과 피해를 겪어도 괜찮다는 의미인가”라며 “정부를 압박하는 도구가 환자의 불안과 피해라면 그 어떤 이유도, 명분도 정당화될 수 없다”고 말했다.
환자단체연합은 "환자가 왜 피해를 봐야 하는가"라며 집단 휴진 결정을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환자단체연합은 “환자는 의대 정원 숫자와 전공의에 대한 행정 처분 취소,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추진과 관련해 아무런 잘못이 없다”며 “그런데 왜 환자들이 의료계와 정부의 극단적인 대립 속에서 피해를 봐야 하는가. 질병으로 이미 아프고 힘든 환자에게 또다시 고통과 불안을 줘선 안 된다”고 했다.
이어 “환자는 집단 휴진과 무기한 전체 휴진을 무기로 삼는 의사를 도와줄 수도, 함께할 수도 없다”며 “지금 여기에 의사가 필요한 환자가 있다면 의사는 그 자리에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복지부, "불법 전제" 의협 ‘3대 요구사항’ 수용 불가
- 의협, 의대 증원 재논의 등 3가지 요구…“수용하면 휴진 재투표”
- 서울대병원 교수 40% 17일 휴진…"더 늘어날 것"
- 삼성서울 등 성균관의대 교수들도 18일 휴진…‘무기한'도 논의
- 전의비, 18일 집단 휴진 ‘동참’…추가 휴진도 “논의 중”
- “환자 버렸다” 비난에도 ‘강경’한 서울의대 교수들 "목소리 낼 때"
- 18일 휴진 신고 의료기관 1463개소…전체 ‘4.02%’
- "집단휴진은 '국가위기사태'…尹, 의료계와 직접 대화해야"
- 최후 보루 ‘응급실’ 지키는 의사들…비번은 총궐기대회로
- 92개 환자단체, 집단 휴진 철회 촉구 "각자도死 내몰려"
- 집단 휴진에 분개한 중증환자들 "폭력배 같은 행동…즉각 철회"
- 인의협 "집단휴진 반대…책임있는 정부가 해결하라"
- '무기한 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할 수 있는 데까지 해보자"
- 집단휴진에 시민·환자단체 등 격분…고발‧피해사례 수집도
- 환자단체연합, 의료대란 해결해달라며 국회에 "PA 합법화" 요구
- 환자단체 "의료계 역풍 맞을 것"…'STOP 집단휴진' 온라인 피케팅
- 서울대병원 무기한 휴진 중단…'지속 가능한 투쟁 전환' 73.6%
- 환자단체 "소모적 논쟁 멈추고 2026년 의대 정원 논의해야"
- 집단 휴진 철회 촉구하며 거리 나서는 환자들 "더는 못 참아"
- 의료계 집단휴진에 거리로 나온 환자들 "환자 없이 의사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