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연대본부 "집단휴진 예고한 17일 전 해결하라"
병원 노동자들이 교수들의 집단 휴진 결정에 반발하며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나서 현 사태를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14일 서울대병원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의료연대본부 박경득 본부장은 “모든 책임은 윤 대통령에게 있으며 의사와의 대결에서 치러야 할 사회적 비용은 바로 국민의 생명”이라며 “정부는 17일 전 대화 창구를 열고 주말 동안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공병상 확충 ▲공공·지역의사제 도입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 ▲간호인력기준 법제화 ▲의대 정원과 병원 간호사 수 확대 ▲필수의료과 전문의 적정 수 유지 의무화 등을 요구했다.
서울대병원 노동조합인 의료연대본부 서울지역지부 서울대병원분회 윤태석 분회장도 “병동별 조사 결과 어린이병원과 암병원 휴진이 예상된다”며 “서울대병원 환자들의 중증도를 봤을 때 이 사태로 환자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했다.
윤 분회장은 “서울대병원장은 총선 전에 이 사태가 끝날 것이라며 근거 없는 이야기만 했다”며 “13개 국립대병원협회장을 맡으면서도 그동안 제대로 된 회의도 진행하지 않으면서 수수방관하고 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즉각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연대본부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집단 휴진을 결정한 의료계를 규탄했다.
의료연대본부는 “의사들의 집단진료거부는 국가위기사태다. 휴진이라는 중립적인 단어로 표현될 수 없으며 ‘의사의 환자 사망 방치’, ‘정부의 국민 생명 포기’ 행위”라며 “억지 주장과 진료 거부는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다”고 했다.
의료연대본부는 “교수들이 할 일은 집단진료거부가 아니라 전공의를 인격을 갖춘 전문가로 양성하는 방안과 지원을 정부에 요구하는 것”이라며 “행정명령 ‘철회’를 ‘취소’로 바꿔 제자에 부끄럽지 않은 교수가 되겠다는 명분은 그야말로 부끄러울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에게 직접 의료계와 대화 창구를 열어 현 사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의료연대본부는 “환자들이 생명을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렸는데 윤 대통령은 어디에 있는가”라며 “국가가 의사를 어떻게 양성하고 운영할 것인지에 대해 아무런 계획과 의지도 없던 대가를 현재 환자들이 치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사태의 책임은 정부에 있다. 윤 대통령이 직접 나서 국민의 생명을 구하라”며 “정부는 전공의 복귀와 진료 정상화를 위해 즉각 대화 창구를 열어 17일 이후 집단진료거부 상황이 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집단 휴진날 한의원 진료 연장 “환영한다”는 의협, 왜?
- 서울의대 교수들 “전공의 국가 자산이라고 부르려면…”
- 노조·시민단체 “윤석열 정부, 의·정 갈등 해결하라”
- 한의협 “의사 집단 휴진에 의원 문 닫으면 한의원으로”
- 최후 보루 ‘응급실’ 지키는 의사들…비번은 총궐기대회로
- 대학병원 수술 멈춘다…마취과 교수들도 18일 ‘전면 휴진’
- 92개 환자단체, 집단 휴진 철회 촉구 "각자도死 내몰려"
- 세브란스병원 노조 “명분 없는 휴진, 진료 조정 업무 거부”
- 보건의료노조 "병원 경영 위기 노동자에게 전가 말라"
- 집단 휴진에 분개한 중증환자들 "폭력배 같은 행동…즉각 철회"
- 18일 휴진 신고 의료기관 1463개소…전체 ‘4.02%’
- 전의비, 18일 집단 휴진 ‘동참’…추가 휴진도 “논의 중”
- 삼성서울 등 성균관의대 교수들도 18일 휴진…‘무기한'도 논의
- 환자단체연합 "정부 압박 도구로 환자 불안 이용하지 말라"
- 인의협 "집단휴진 반대…책임있는 정부가 해결하라"
- '집단 휴진' 앞둔 의협…"밥그릇 아닌 의료 지킬 마지막 방법"
- "의정 갈등 속 간호사 피해…의정 갈등 조속히 해결해야"
- 환자단체 "의료계 역풍 맞을 것"…'STOP 집단휴진' 온라인 피케팅
- 서울대병원 노조, 김영태 원장 규탄 "공공의료 강화 요구 수용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