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대한 인식 변화도 함께 가야…"현장 목소리 듣자"
수련 내실화 없는 '인턴 2년제'는 "노예 기간 연장" 비판도
전공의가 떠난 자리에서도 수련 제도 개선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국가책임제나 근무시간 단축 논의도 활발하다. 그러나 제도 개선만 앞세워서는 떠난 전공의를 다시 불러오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14일 서울 서초구 더케이호텔 서울에서 열린 대한의학회 학술대회에서 전문가들은 '전공의 수련의 질과 환경 개선, 바람직한 길을 묻다'를 주제로 전공의 수련제도 개선 방향을 다뤘다.
가천의대 예방의학교실 정재훈 교수는 의료계 인식 변화를 강조했다. "좋은 제도를 만들어도 움직이는 건 사람"이라고 했다.
정 교수는 "제도 정비나 지원에 대한 논의도 필요하지만 의료계 내에서도 우리가 무엇을 바꿔야 할지 서로에 대해 이야기해야 한다"면서 "제도 개선과 후배 교육에 관심을 쏟는 교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곳도 굉장히 많다. 이런 곳을 어떻게 개선할지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정 교수는 "전공의와 의대생이 돌아오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전공의를 병원 노동자로만 보는) 이 구조를 더 이상 대물림하기 싫어서라고 생각한다"며 "위기는 곧 기회다. (전공의와 의대생이 떠난) 상황을 기회로 살려 (인식과 제도를 고치고) 전공의의 피교육자 신분을 더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
이날 현장에서는 전공의는 물론 지도전문의 입장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연세의대 성형외과학교실 홍종원 교수는 "좋은 제도를 만들어도 (전공의를) 지도하는 건 일선 교수"라면서 "그러나 오늘처럼 제도 관련 논의를 해도 현장에는 제대로 닿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홍 교수는 "지도전문의로서 (제도를 바꿔도) 전공의 실력 향상을 체감하기 어렵고 전공의 본인조차 스스로 역량 성장에 회의적인 사례가 많다"며 "지도전문의로서는 교육 방법을 개선해도 성과가 나오지 않으니 일만 늘어난다고 느낀다"고 했다.
홍 교수는 "현장이 개선돼야 한다고 하지만 정작 이를 담당하는 교육수련부는 병원 내에서 권한이 거의 없다"며 "실제 현장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또 어떤 파급 효과를 불러올지 현실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가톨릭의대 이비인후과학교실 박시내 교수는 저수가 체제가 전공의를 저임금 노동자로 다뤘다면서 "앞으로는 정부와 사회가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전공의를 "피교육자냐 노동자냐로 나눠서 생각할 수는 없다"고 했다.
박 교수는 "허드렛일이나 단순 심부름은 고쳐가야 하지만 환자 동의서 등 (서류 업무) 하는 과정에서 배울 것도 많다"며 "(전공의 수련비용을 지원하는) 다른 나라들이 급여 50%는 피교육자로서 정부가 지원하고 나머지 50%는 노동자로서 병원이 부담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본다"고 했다.
'진료 역량 향상' 인턴도 2년으로?…"내실화 없인 노예제일 뿐"
이날 함께 다룬 인턴제 개선 논의도 마찬가지다. 현장 고려 없이 제도 개선만 앞세워선 안 된다는 것이다. 임상수련의 제도를 비롯해 인턴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리는 방안에 전문가들은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연세의대 영상의학교실 이승구 교수는 "현장에서 인턴을 책임지는 건 1년 차 전공의다. 인턴이 하는 일은 환자 동의서 주고받기고 평가는 A4 용지 한 장 분량으로 이뤄진다"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일차 진료 역량 향상'을 앞세워 인턴 수련 기간을 2년으로 늘리자는 주장은 "의대 졸업자가 곧바로 피부미용 분야로 가는 게 못마땅한 시선을 행간에 감춘 것"이라고 봤다. 인턴제가 2년으로 늘어나면 병원 입장에서도 "흔히 말하는 '필수의료' 인력이 크게 늘어나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과 평가하는 사람을 확실히 설정하고 인턴 역량 평가와 모니터링 체계를 의학회가 주도해 만들어야 한다"며 "이런 전제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인턴 2년제는 무의미한 노예 기간 1년 연장밖에 안 된다"고 했다.
이날 좌장을 맡은 의학회 박중신 부회장(서울의대 산부인과) 역시 "현 상황에서 인턴 기간만 무작정 2년으로 늘려선 안 된다"며 "의학회는 현재 인턴 수련 기간을 2년 늘리는 것을 반대한다"고 했다.
박 부회장은 "인턴 수련 제도가 우선 내실화돼야 한다. 수련제도를 내실화한 뒤에 인턴 수련 기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나오면 그때 기간을 늘리는 논의를 해야 한다"며 "의학회도 현재 TFT 단계인 인턴 수련 회의체를 의학회 기구로 발전시켜 인턴제 내실화와 수련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관련기사
- “의대생·전공의 없는데 ‘미래 교육’ 무슨 의미” 좌절감 휩싸인 의학계
- 외과 전공의 수련 4년제 복귀설 ‘솔솔’…“제대로 된 수련 못해”
- 전공의 수련 국가책임제, 기회인가 덫인가
- "전공의 복귀 바라지만, 복귀 후도 문제…의존도 낮춰야"
- 政, 의대 정원 증원 맞춰 ‘수도권-비수도권’ 전공의 비율도 재조정
- 인턴 2년제 제안에 전문가들 "수련 환경부터 제대로"
- 의대 정원에 묶인 의학 교육·수련…돋보기 들이대는 의학계
- 집단 휴진 현장 찾은 국힘 의료개혁특위…“해결에 최선”
- 의협 공동위원장 제안에 '9.4 의정합의' 떠올린 전공의들
- 전공의 없으면 멈추는 한국 의료…전문의 중심되면 다를까
- 전공의 수련 국가책임제 ‘지도전문의’ 인건비 지원으로 가닥?
- 산부인과 전문의 고령화 ‘심각’…10명 중 3명 60대 이상
- 간호계 "의사 업무 떠넘기기식 간호법 시행령 반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