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개 의대 증원 신청 조사…19개 대학 공개
울산의대 증원율 275%…충북의대 410% 추정
'미니의대' 파격적 증원 요구…강원·건국대 3배 증원 신청
비공개 대학들 "학생 배신감 어떻게 감당하나" 걱정도

청년의사는 지난 5일 전국 40개 대학에 의대 증원 신청 규모를 문의했다(사진출처: 게티 이미지).
청년의사는 지난 5일 전국 40개 대학에 의대 증원 신청 규모를 문의했다(사진출처: 게티 이미지).

정부의 전국 40개 대학의 의대 정원 증원 신청 조사에 대학들이 앞다퉈 증원을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의대 정원을 기존 정원보다 2~3배 늘려달라고 요구까지 있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 브리핑’을 통해 4일까지 시행한 2차 의대 정원 신청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11월 1차 수요 조사 이후 재조사한 결과다.

그 결과 의대를 운영하는 전국 40개 대학에서 2025학년도에 3,401명의 정원을 늘려달라고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 입학정원인 3,058명을 상회하는 수치로 각 대학이 신청한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청년의사가 5일 전국 40개 대학에 증원 신청을 확인한 결과, 절반에 달하는 19개 대학이 교육부에 제출한 증원 규모를 공개했다. 이 중 일부 대학은 구체적인 신청 규모가 아니라 증원 범위 정도만을 공개하기도 했다.

의대 정원 신청 규모를 공개한 대학들 중 가장 증원율이 가장 높은 의대는 275.0% 증원을 요구한 울산대였다. 울산대는 현 정원 40명에서 110명 늘어난 150명 정원을 신청했다. 울산대는 지난해 진행된 1차 수요조사에선 80명에서 90명 사이를 신청했다.

신청 규모를 공개하지 않은 21개 대학들 중에는 울산대 보다 증원율이 더 높은 곳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충북대의 경우 공식적으로 증원 규모를 비공개했지만, 의료계에 따르면 현 정원 49명에서 201명 늘어난 250명 정원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증원율은 410.2%가 된다.

'미니의대'부터 100명 이상 의대까지 '파격적' 증원 요청

이번 수요조사에서는 정원 50명 미만인 ‘미니 의대’를 보유한 대학들의 파격적인 증원 신청이 눈에 띄었다.

현 정원이 49명인 강원대의 경우 3배에 달하는 140명으로 정원을 늘려달라고 했으며 동아대(49명)도 51명 늘린 100명으로 정원을 신청했다. 현재 정원이 49명인 인하대의 경우 정확한 수치를 공개하진 않았지만, 100여명 수준으로 정원을 요구했다고 청년의사에 전해왔다.

건국대(40명)는 3배에 달하는 120명까지 정원을 늘려달라고 신청했으며 단국대(정원 40명)의 경우 구체적인 수치는 밝히지 않았으나 지난해 1차 수요조사와 비슷한 증원 규모를 제출했다고 밝혀 총 정원 80~90명 정도를 희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 정원이 40명인 대구가톨릭대·제주대·아주대는 각각 80명, 100명, 144명까지 정원을 늘려달라고 신청했다.

영남대의 경우 현 정원 76명의 두 배인 152명 정원을 요구했으며 계명대의 경우 정확한 수치를 밝히진 않았으나 1차 조사 때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혀 180명에서 200명 사이로 정원을 신청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원이 100명이 넘는 의대가 있는 대학 중 정원을 두 배 이상 늘려달라고 신청한 곳도 있었다.

현 정원이 110명인 경북대의 경우 두 배가 넘는 250명까지 정원을 늘려달라고 요청했으며 부산대도 125명에서 그 두 배인 250명 정원을 신청했다. 전북대는 142명에서 98명 늘린 240명으로 정원을 신청했다.

그 외 ▲조선대는 125명에서 170명으로 ▲경희대는 110명에서 최소 140명에서 최대 160명으로 ▲연세대는 110명에서 120명으로 증원해달라고 각각 신청했다.

정부는 이번 발표에서 권역별 증원 수치도 공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서울 소재 8개 대학에서 365명, 경인권 5개 대학에서 565명, 비수도권 27개 대학이 2,471명 증원을 각각 요청했다. 비수도권의 증원 규모는 전체(3,401명)의 72.6%를 차치한다.

이에 의대 정원 신청을 공개한 대학들을 권역별로 분류해 봤다.

먼저 대구권에 위치한 경북·계명·대구가톨릭·영남대는 380명 정도로 증원을 요청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울산·경남권 소재 5개 대학(경상·동아·부산·인제·울산대)에서는 437명의 증원을 신청했으며, 전북·광주를 포함한 전라권 소재 3개 대학(원광·전북·조선대)에서 요구한 증원 규모는 236명에 달했다.

충청권은 건국·단국대를 합쳐 130명 규모로 증원을 요구한 것으로 추정된다.

신청 규모 비공개 대학들 "학교-학생 모두 상처 받지 않아야"

증원 신청 규모를 밝히기 어렵다고 답한 대학 관계자들은 한 목소리로 “민감한 시기”라며 말을 아꼈다. 의대 증원을 둘러싸고 정부와 의대생들이 대립하는 만큼 더더욱 신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A대 관계자는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교육부의 의지를 따르지 않을 수는 없으나 대학 입장에서는 학생도 고려해야 한다”며 “각 대학은 학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수리하지 않는 등 학생에게 불이익이 없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대학본부가 증원 규모를 밝히면 학생의 배신감을 어떻게 감당하겠나. 서로 상처가 남지 않으려면 더더욱 공개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의대 교수들이 대학본부의 증원 신청에 반대하면서 증원 규모를 밝히기 어렵다는 전언도 나왔다. 일부 의대 교수협의회들은 의대 증원에 반대하는 성명서를 잇따라 발표하고 있으며 33개 의대 교수협의회 대표는 5일 서울행정법원에 의대 증원 처분에 대한 취소소송을 제기하기도 했다.

B대 관계자는 “함구령이 내려진 상태다. 의대 교수들이 반대하는 일부 의견이 있어서 학교 내에서도 공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