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대교수협 비대위, 3개 병원 교수 대상 설문조사 결과 공개
응답자 77.5% ‘겸직해제·사직서’ 찬성…“전공의 사법조치 경종 울려야”
빅5병원’인 서울아산병원 등이 포함된 울산의대 교수들이 업무개시명령 위반 사실이 확인된 전공의에 대한 정부의 면허정지 처분에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울산의대 교수 10명 중 8명은 실제 전공의 처분이 이뤄질 경우 겸직해제와 사직서 제출 등의 방향으로 대응할 것으로 보인다.
울산의대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전공의 면허정지·취소 등 사법조치에 대한 향후 대응 방향에 대해 서울아산병원·울산대병원·강릉아산병원 교수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5일 공개했다. 설문에는 3개 병원 겸직교수와 임상교수 총 996명 중 60.7%인 605명이 참여했다.
그 결과, 설문에 참여한 울산의대 교수 605명 중 77.5%(469명)는 정부의 미복귀 전공의 처분 시 겸직해제와 사직서 제출로 대응해야 한다는데 찬성했다. 특히 임상교수 중 74%가 사직서 제출에 찬성했다.
겸직해제나 사직서 제출 시기에 대해서는 “현재 외래와 수술 등 비응급진료는 순차적으로 축소할 수밖에 없고 (사태가) 장기화돼 응급실, 중환자실, 입원진료마저 위협받는다면 사직서를 제출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 “전공의 복귀 시한이 지나고 3월 인턴과 신입 전공의가 입사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전공의 없이 운영되고 있어 겸직교수직이 무의미한 상황에서 전공의 사법조치에 경종을 울리는 방법으로 겸직해제에 찬성한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정부와 의료계 대치가 계속되면 젊은 제자들이 희생양이 된다는 점에서 교수들이 나서서 대화와 타협을 중재하고 법적대응을 먼저 해달라”는 의견도 나왔다.
관련기사
- 정부, 집단행동 주동 전공의 ‘경찰 고발’ 예정
- "미복귀 전공의, 현장점검 후 바로 ‘면허정지’ 행정처분"
- 시작된 의협 임원 경찰 수사…의료계 긴장감 고조
- "복귀해도 안 해도 어차피 면허 취소"라는 사직 전공의들
- [초점] ‘강압적’ 정부 향한 분노, 대학병원 교수들까지 흔든다
- '필수의료 20년 더 하고 싶다'…벼랑 끝 의사들의 외침
- 세계의사회 “韓정부, 의료계 향한 강압조치 중단하라” 촉구
- "제자들 지키기 위해" 행동 예고한 울산의대 교수들
- 전국 33개 의대교수들 '의대 증원 취소' 소송 제기
- "韓정부 의사 탄압, 인권 침해 수준"…의협 비대위 외신 기자회견
- [단독] 내과 레지던트 복귀율 '10% 미만' 전망…"매우 비관적"
- 성균관의대 교수들도 "전공의 처벌하면 행동에 나설 것"
- “막아내지 못했다” 무력감 휩싸인 의대 교수 사회
- 대학들, 의대 증원 얼마나 신청했나 봤더니…증원율 100%↑ 수두룩
- 서울대병원 교수들 한 자리 모였지만 "뾰족한 수 없어" 한숨
- 서울의대 김정은 학장 "교수는 사직 대신 국민과 대화해야"
- 공수처 출신 여운국 변호사…전공의 소송 지원 합류
- 의대교수들은 ‘사직’ 불사한다는데…정부는 “제자 설득” 요청
- 의료계 시국선언 연대 5천명 돌파…"정부와 의료계 대화 나서야"
- "폭압적 공권력 행사 규탄…제자들 피해 시 행동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