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백병원은 수신증 환자를 대상으로 로봇수술을 활용해 소장 절제술과 소장요관 문합술을 시행했다고 20일 밝혔다(사진제공: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백병원은 수신증 환자를 대상으로 로봇수술을 활용해 소장 절제술과 소장요관 문합술을 시행했다고 20일 밝혔다(사진제공: 해운대백병원).

인제대 해운대백병원은 로봇 수술을 활용해 수신증 환자에게 소장 절제술과 소장요관 문합술을 동시에 시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소장요관 문합술은 손상된 요관을 대신해 소장의 일부를 요관과 연결, 신장 기능을 보존하는 수술이다. 수신증은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이 모이는 부분인 신우에 소변이 과다하게 모여 확장된 상태를 말한다. 해당 환자는 우측 요관 15cm 구간에 심한 협착이 발생해 자가 요관 문합술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중증 요관 협착 환자는 일반적으로 경피적 신루술(Percutaneous Nephrostomy, PCN)을 통한 체외 배액이나 신장 절제술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신장을 절제하면 평생 단일 신장으로 생활해야 한다.

이에 의료진은 환자의 상태와 협착 부위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맞춤형 재건 수술을 계획했다. 해당 수술은 비뇨의학과 오철규 교수와 대장항문외과 정원범 교수 간 협진으로 진행됐다. 신장을 보존하면서도 합병증 위험을 최소화했다고 병원 측은 밝혔다.

이번 수술에서는 로봇 수술 중 하나인 다빈치 수술 시스템의 ‘Firefly(형광 영상)’ 기능을 통해 조직 혈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재건술의 안정성과 성공률을 높였다.

오 교수는 “국내에서 보기 드문 수술이었지만 풍부한 로봇수술 경험과 의료진 간 협진 체계 덕분에 성공적인 집도를 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로봇수술의 강점을 살려 환자들에게 더 안전하고 정밀한 치료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정 교수는 “소장요관 문합술은 기존에도 시행돼 왔지만 소장 절제까지 로봇으로 시행한 사례는 드물다”며 “환자 회복 속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